제주특별자치도 공직사회가 비대해지면서 출범 취지를 역행하고 있다. '저비용 고효율'의 특별자치도 출범 취지에 맞춰 공무원 수를 줄이기로 했지만 중앙정부의 권한 이양과 인구 증가 등 달라진 여건을 이유로 오히려 채용 규모를 늘리면서 공직사회의 몸집이 커지고 있다. 게다가 내달 출범할 민선7기 임기 4년간 공무원 2500명을 신규 채용키로 하면서 특별도 행정조직의 '고비용 저효율' 부작용도 심화될 전망이다. 

제주도 일반직 공무원 정원은 2007년 출범 당시 5169명에서 2008년 4978명으로 191명 줄었다. 당시 민선4기 도정은 공무원 인건비 부담은 줄이면서 행정 서비스를 높이는 '저비용 고효율'의 특별도 출범 약속을 지키기 위해 공무원 숫자를 감축했다. 하지만 민선5기 임기말인 2014년 5135명으로 157명 늘어났고, 민선6기 역시 지난 3년간 1143명을 신규 채용하자 일반직 정원은 올해 5월말 현재 5595명으로 증가했다. 

공무원 조직 비대화는 민선7기에서도 가속페달을 밟게 돼 주민들의 공무원 인건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원희룡 지사가 6·13 지방선거 당시 공공분야 정규직 1만명 일자리 창출 일환으로 공무원 2500명 신규 채용을 약속했기 때문이다. 오는 2022년까지 신규 채용 2500명의 공약이 이행되면 일반직 공무원 정원은 8095명으로 더 늘 수밖에 없다. 

공무원 숫자 늘리기는 폐해가 적지 않아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공무원 인건비를 부담할 주민들의 세부담이 가중된다. 더불어 업무추진비를 포함한 부서운영비 등 고정적으로 지출해야 할 공직사회의 경직성 경비가 증가, 주민복지 향상에 쓰여질 예산을 공무원들이 잠식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공무원 채용 확대로 도내 중소기업체의 구인난을 부채질 할 것이란 부정적 의견도 나오고 있다. 득보다 실이 더 많은 '고비용 저효율'의 부작용을 해소하지 않으면 주민들만 피해를 입게 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