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나 정치부차장 대우

남북이 427 판문점 선언에 따라 8월20~26일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진행한다. 4일 남북은 이산가족 상봉행사에 참여할 2차 후보자 명단을 교환했다. 대한적십자사는 "컴퓨터 추첨을 통해 선정된 500여명의 1차 후보자 가운데, 250명을 추렸다"며 판문점 채널을 통해 북측과 교환한다고 밝혔다. 양측 행사추진단은 주소, 나이, 가족관계 등이 포함된 이들 명단을 맞바꿔 이날부터 생사확인 작업에 착수, 오는 25일 그 결과를 다시 돌려받는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북한의 핵 도발 위협으로 정점에 치닫던 남북 관계.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대화국면으로 돌아섰고, 4·27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이 '한반도 평화'에 대한 염원과 '한민족'에 대한 서로의 뜻이 일치한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이산가족 상봉행사 추진이 속도있게 추진되는 것 역시 이 때문일 것이다. 한반도를 남과 북으로 나누는 휴전선이 그어질 당시 이들은 60여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고향땅을 밟지 못하고 흩어진 가족과 생사를 모르고 살아갈 것이라고는 생각지도 못 했을 것이다. 

이번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추진되면서 '가족찾기'에 나선 신청자들은 모두 5만7000여명에 달한다. 하지만 최종 선발자는 100명에 불과해 570대 1 이라는 치열한 경쟁률을 뚫어야지만 가족을 대면할 수 있는 행운이 주어진다. 5월 말 기준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등록된 생존 이산가족은 5만6890명으로 이 가운데 60%가 80세 이상의 고령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산가족상봉 신청접수 장소는 항상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 언제 또 다시 있을지 모를 기회이기에 너무나도 절박하지만 고령의 나이가 원망스러울 만큼 그 관문이 좁기 때문이다. 

때문에 정부는 이번 신청접수 당시 신청자 가운데서도 고령자, 직계가족에 가중치를 부여했지만 이마저도 녹록하지 않다. 60여년의 시간동안 남측과 북측에서 휴전선만 바라봐야 했던 이들의 가슴속 응어리가 조금이나마 유연해 질 수 있도록 정부는 이번 행사와 동시에 정례적인 이산가족 상봉행사 추진과 참여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에도 속도를 내야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