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제주플러스포럼이 6일 제주칼호텔에서 뉴스1제주본부 주관으로 열렸다.

김태윤 제주연구원 선임연구원 6일 열린 제주플러스포럼서 의견 제시

권오석 경북대 교수 스마트기술로 구상나무 보호 재선충병 방제 강조

 

김태윤 제주연구원 선임연구원

제주의 국립공원 확대로 자연환경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지역발전과 주민소득에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김태윤 제주연구원 선임연구원은 6일 제주칼호텔에서 뉴스1제주본부 주관으로 열린 제3회 제주플러스포럼에서 '제주의 자연환경보전과 지혜로운 이용'이란 주제발표를 “제주도는 기존 한라산 국립공원을 포함해 오름과 습지, 곶자왈, 해양 등 9개 지역을 제주국립공원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도내 국립공원 면적은 한라산 국립공원 153㎢에서 673㎢로 대폭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국립공원 지정은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제주의 브랜드 가치를 향상하는 등의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며 “하지만 사유재산권과 주민의 일상생활을 제약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기에 주민소득 창출 방안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제주국립공원은 제주자연의 가치와 매력을 증진하고 자연환경의 체계적인 보전과 지혜로운 이용이 가능하다"며 "국립공원 지정과 관리에 지역주민들이 참여하면 일자리와 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제주국립공원과 연계해 1차산업을 특화하면 자연환경보전과 주민소득 창출 등 두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제주국립공원은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주민이 체감하는 공원이 돼야 하며, 한라산과 중산간, 연안, 바다를 연결해 섬 지역의 중요한 생태축을 구축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제주국립공원 사업·관리 주체에 대해 김 연구원은 지역특성을 반영하고 특별자치도인 제주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 제주도가 관리 주체가 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오석 경북대 교수

이날 제주플러스포럼에서 권오석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교수는 '제주형 자원순환사회 조성을 위한 자연보전과 산업화 전략은'이란 주제발표에서 “제주에 맞는 환경생태 인프라를 구축해 효율적으로 자연환경보전과 관리에 나서야 한다"며 "관측 인프라부터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까지 일관 관리를 위한 종합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 교수는 “지능정보 기반 생태환경 모니터링 및 사전 예방적 재난·재해 관리·경보 서비스를 개발하고, 생태환경 실시간 변화·열람 하이퍼 가상현실·증강현실 서비스도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이를 통해 세계자연보전연맹(ICUN) 지정 멸종위기종인 구상나무와 소나무재선충 발생지역 등을 주기적으로 촬영해 생태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며 "한라산 정상과 진달래밭 등 제주지역 보호지역 대해서도 모니터링을 통해 연구 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