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에 이어 민선7기 제주호를 이끌 원희룡 지사가 도정운영 원리로 협치 카드를 다시 꺼내들었다. 지난 1일 민선7기 개막과 함께 도의회에 행정시장 후보 추천을 요청했던 원 지사는 엊그제 열린 11대 도의회 임시회의 첫 업무보고에서 협치?연정을 핵심 키워드로 의회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원 지사는 한발 더 나아가 인사·조직·예산·현안에 대한 실질적 논의와 협력을 위해 '상설정책협의회' 운영까지 도의회에 제안했다.

원 지사의 행정시장 추천 제안에 대해 김태석 의장이 "선례도 없고, 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다"며 사양하면서 첫 협치 행보는 무산됐다. 하지만 도의회에 대한 원 지사의 협치·연정 제안은 4년전 민선6기 첫 출발 당시와 비교할 때 진일보한 것이라 평가다. 당시 시민단체와의 협치를 강화했던 원 지사는 도의회를 개혁의 대상으로 인식하면서 2015년 첫 예산안 심사부터 파국을 초래할 만큼 사사건건 대립했다.

원 지사가 협치의 무게중심을 도의회로 이동한 배경에 대해 '무소속' 한계를 감안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민선6기 집권여당 새누리당 소속 도지사와 달리 민선7기는 무소속으로 신분이 바뀐 가운데 민주당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한 11대 도의회와 협력해야 도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에서는 도의회와 대립하면 결국 도민들이 피해를 입고, 원 지사 역시 정치생명에 위협을 느낄 정도로 도정운영의 불신을 초래했던 4년전 경험이 반면교사로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도의회와의 협치 배경이 어떻든 간에 도민의 삶을 살찌우기 위해서는 화려한 미사여구 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4년전 처럼 협치를 내세우면서 일방통행식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면 도민·의회와 대립하는 역효과를 낳기 때문이다. 버스 준공영제만 해도 도의회의 의견을 충분히 듣지 않은 결과 막대한 혈세를 낭비하고 있다. 또다시 꺼낸 협치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도민과 도의회를 무시하는 수직적 통치행위부터 버려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