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은 인구유입이 지속되고 관광객은 연간 1500만명에 달하고 있다. 각종 개발사업이 꾸준히 이뤄지고 물 사용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물 사용량 증가는 상수도 문제뿐 아니라 하수처리 문제도 발생시키고 있다.

제주지역 8곳의 하수처리장의 1일 처리용량은 24만㎥ 규모다. 이 가운데 도두동에 있는 제주하수처리장이 54.2%인 13만t 처리 용량을 갖추고 있다. 제주하수처리장은 처리용량이 한계에 다다른데다 시설까지 낡았다. 이 때문에 오수가 넘치거나 하수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며 방류수 수질이 적정 기준치를 넘어서고 있다.

제주하수처리장은 지난해 화학적 산소요구량·부유물질·총질소·총인 등 4개 항목에서 수질 기준을 초과했었다. 올해도 역시 4개 항목의 기준치를 초과해 개선명령을 받았다. 방류수 수질 문제는 제주하수처리장뿐 아니라 서부와 색달, 남원, 성산처리장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제주도는 하수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처리시설 적정용량 초과 문제가 발생하자 광역하수도정비기본계획을 2년만에 변경했다. 다행히 환경부에서 지난 6월 기본계획 변경안을 승인함으로써 하수처리장 대규모 증설 물꼬는 텄다. 이에따라 하수처리장 시설용량은 2035년에 당초 35만4000㎥로 계획했으나 43만3000㎥로 변경됐다. 

문제는 예산확보다. 도는 기본계획 추진을 위해 2조254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17년간 매년 1326억원 가량을 투자해야 한다. 제주도는 기본계획에 따라 우선 내년도 정부 예산에 하수처리장 및 하수관거 확충을 위해 1203억원을 국비로 반영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예산이 반영됐다는 소식은 들리지 않는다. 정부는 제주지역 하수처리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 하수처리장 및 하수관거 확충이 조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국비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한다. 원희룡 도정과 제주지역 국회의원 역시 하수 관련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