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철 교육문화체육부 차장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잘 '연결'된 사회로 평가된다. 

미국 리서치 기관인 퓨(Pew) 리서치센터가 지난해 조사한 39개국 중에서 한국은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률이 가장 높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률도 69%로 미국, 호주와 함께 공동 3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성인 96%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고, 스마트폰을 가진 성인의 비율도 94%에 이른다. 나머지 6%는 피처폰을 소유해 한국인의 휴대전화 보급률은 100%인 셈이다.

이웃국가인 일본은 59%만 스마트폰을 소유했고, 8%는 휴대전화가 아예 없는 점과 비교하면 우리나라는 그야말로 '스마트 사회'로 들어섰다.

하지만 이같은 변화가 마냥 달갑지만은 않은 직업군도 존재한다. 예전에는 감히 그림자도 밟을 수 없었던 '교사' 직업도 여기에 해당한다.

교사중 상당수가 전화번호 공개가 의무가 아님에도 학년초면 아이들이나 학부모들과의 소통을 위해 전화번호를 공유한다.

문제는 교사들이 한밤중에도 학부모들로부터 전화를 받는 일이 드물지 않다는 점이다. '아이가 학교에서 싸웠는데 왜 우리 아이만 더 혼나야 하느냐' 등 언성을 높이는 일부 학부모들의 전화에 이제는 벨소리만 울려도 가슴이 '철렁'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게 교사들의 하소연이다.

이외에도 업무시간 외 행사 일정을 문의하는 카카오톡과 문자, 특정 학부모의 잦은 장시간 상담 요구 등도 교사들의 '저녁이 있는 삶'을 막는 요소가 되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아예 휴대전화로 인한 교권침해 설문조사를 실시해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는 계획이다.

교사의 휴대전화는 긴급한 상황에 연락하라고 공개하는 것이지, 24시간 상담하라는 뜻이 아니다.

스마트폰 시대를 맞아 교사와 학부모간의 전화 예절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때다. 아울러 긴급연락망을 비롯해 교사와의 연락 체계도 학교를 중심으로 재설정하는 등 교육당국의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