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운영 중인 소비물가정보 페이지 캡쳐화면.

도 올해 모바일 접근성 강화, 품목·조사대상 등 확대
가격 조사 기준 제각각 가격차 교차비교 한계 우려

도민의 가계부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주도가 운영 중인 소비물가정보가 품목·업소 확대 등의 속도감에 반해 현실성 떨어지는 내용으로 물가 스트레스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31일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수산물유통공사, 도내 유통가 등에 따르면 더위가 평년보다 일찍 시작되면서 7월 밥상물가가 크게 올랐다. 식재료 가격이 널뛰기를 시작했고 폭염 장기화로 인한 추가 가격 인상도 점쳐지고 있다.

제주의 경우 폭염 피해가 컸던 지난 2016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3%로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다. 전국 평균(1.0%)을 앞지른 것은 물론이고 2015년 전년대비 0.6%로 하락세를 유지했던 기저효과까지 겹치며 가계부 관리에 비상이 걸렸었다. 2016년 제주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1.2% 상승하며 2012년 이후 이어지던 0%대 안정세를 비틀었다.

이번 여름 역시 품목에 따라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배추와 무, 토마토, 수박 등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폭염에 이은 가뭄·일사 피해가 발생한 채소·과일류와 폐사 등 비상이 걸린 육류와 어패류 등의 가격 상승으로 번질 가능성도 큰 상황이다.

여기에 도민들을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확대·도입된 '소비자물가정보'가 기준 없는 가격 정보로 불만을 키우고 있다.

도는 지난해 74개 품목·14곳이던 가격조사 대상을 올해 124개·18곳으로 확대했다. 6월 모바일 웹페이지를 구축하는 등 접근성을 높였지만 정작 정보 수준은 취약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 여름 수요가 많은 닭의 경우 '한 마리'를 기준으로 5원에서 6980원까지 매장별 편차가 6900원 이상 된다. 휴가 단골 메뉴인 컵라면(육개장 사발면)은 700원에서 4200원까지 천차만별이다.

심지어 같은 매장의 제주점과 서귀포점이 각각 950원, 4200원에 판매하는 것으로 안내하는 등 혼란을 줬다. 권장소비자가격 기준이 있는 공산품에 반해 생산지나 포장 단위에 따라 가격차가 커지는 신선식품류 정보는 교차비교가 힘들다.

때문에 정보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품목별 기준을 보다 세분화하고 일관성 있는 정보 수합을 위한 조사원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