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모든 분야에서 '전국의 1%'로 불리는 제주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역대 제주도정은 국내외 자본 유치에 공을 들여왔다. 이에 따라 제주도가 인·허가절차를 간소화하고 각종 세제 혜택을 부여하면서 중국자본도 엄청나게 들어왔다. 제주도관광협회에 따르면 2000년 5만7000명에 불과하던 중국인 관광객이 2016년 306만2000명으로 급증한 시기를 중심으로 중국인들은 관광지개발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했다.

하지만 2014년 7월 원희룡 지사가 취임, 개발보다 보전에 중점을 둔 도정방침을 강조하고 이미 각종 행정절차를 마친 개발사업에도 새로운 규제 강화조치를 적용하면서부터 중국을 비롯한 외국 자본이 제주를 외면하기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집계 결과 올해 상반기 제주도의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액은 1억4000만달러, 도착금액은 1억14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4억7000만달러, 4억6700만달러에 비해 각각 76.7%, 75.6%씩 줄어들었다. 이같은 현상은 중국정부가 2016년 말부터 시행중인 '외환보유고 관리조치' 때문이라는 분석이 유력하다.

반면 법적 근거도 없는 자본검증을 강행하거나 행정절차가 마무리된 사업에 대해 공론조사를 시행, 사업자측에 상당한 경제적·시간적 부담을 안기면서 투자 유치는 커녕 있는 사업자마저 등을 돌리게 하는 제주도정의 '쇄국정책'에 기인한다는 주장도 없지 않다.

물론 원 도정은 취임 초 56층(218m)에 이르는 드림타워의 최고고도를 38층(169m)으로 낮추고 중산간지역 난개발을 억제하는 등 자연환경 보전을 위해 노력해온 것도 부인할 수는 없다. 
하지만 경과조치도 없는 일률적이고 지나친 규제는 도정에 대한 국제적 신인도 하락으로 투자는 물론 지역내 고용마저 떨어뜨린다는 점을 고려, 제주도는 차차 출구전략을 모색해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