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2018 보고서 올 6월 현재 위험지수 0.86 하락세 지속
2010년 이후 순유입 인구 증가에도 읍·면·동 10곳 중 3곳 위험군

제주의 순유입인구 증가세가 '지방소멸'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제주 43개 읍·면·동 10곳 중 3곳(30.2%)은 소멸위험 지역(소멸위기지수 0.5 미만)으로 분류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이 이미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는 내용을 담은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국가통계포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활용해 2013~2018년 전국 228개 시군구와 3463개 읍면동의 소멸위험지수를 계산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가임여성인구(20~39세) 수를 같은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이번 분석에 따르면 제주의 소멸 위험 지수(2018년 6월 현재)는 0.86으로 측정됐다. 전국 평균 0.96을 밑돈다. 2013년 7월 0.94였던 것과 비교해 5년 사이 완만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광역시 중에는 부산과 대구가 각각 0.76, 0.87로 소멸 위기에 취약한 것으로 분류됐다.

제주의 소멸위기지수는 수도권·대도시를 제외한 지역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양호했지만 저출산·고령화 위기감을 떨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는 지난 2010년 유입 인구가 유출 인구를 역전하기 시작해 △2013년 7823명 △2014년 1명1112명 △2015년 1만4254명 △2016년 1만4632명 등 증가세를 이어왔다. 지난해 1만4005명으로 소강 상태를 보였지만 '제주 러시'라는 사회 현상을 유지했다.

타 지역과 달리 30·40대 이주가 상대적으로 많고 고용시장 내 취업인구 증가 등에 영향을 미쳤지만 소멸위기를 제어하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도심 동지역과 외곽 읍·면 지역간 양극화가 커진데다 노동시장 한계 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삶의 질 하락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위협 요소로 꼽혔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