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 북한보내기(자료사진).

제주연구원 김태윤 선임연구위원 신재생에너지·전통산업 등 주목
"환경 차별화 유리" 판단…국제 네트워크 활용 등 지속성도 강조

남북·북미 정상회담 이후 긍정 모드인 남북 관계를 지역 경쟁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내에 전담 조직 또는 남북교류협력센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제주연구원 김태윤 선임연구위원은 13일 발표한 '제주도·북한간 환경분야 교류협력 방향과 과제' 연구를 통해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위원은 지속성 등을 감안할 때 환경과 전통산업, 신재생에너지 산업 부분에 있어 타 지역과 비교해 선점 우위에 있다고 판단했다.

제주도는 지난 2000년대 10여 년간 지자체와 민간 부문을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추진했었다. 이후 한라산-백두산 공동연구 등이 논의됐는가 하면 2014년 한라산·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 사업을 공식 제안하는 등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김 위원은 북한이 생물다양성 연구와 기후변화 대응 등에 있어 취약한 환경에 있다는 점, 국제기구를 통한 교류협력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 지난 2004년부터 2012년 7월까지 통일부 승인을 받은 581건의 협력 사업 중 환경 협력은 5건에 불과하다는 점도 제주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 일부 지자체들이 민선7기 첫 조직개편과정에 전담조직을 편성하는 등 대북관련 사업을 확대하는 분위기도 반영했다. 서울시가 행정1부장 직속 '남북협력추진단' 신설을, 경기도는 연정부지사의 명칭을 평화부지사로 변경하고 남북교류사업을 전담할 평화협력국을 새로 만들었다.

인천시도 기조실에 '남북교류협력담당관'을 새로 배치했고  강원도는 기존 남북교류협력과를 남북교류담당관실로 개편하고 평화지역발전과를 국 단위 평화지역발전단으로 격상했다.

김 위원은 한반도 및 동북아 지방자치단체 환경연합 결성과 북한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을 아우르는 국제보호지역 명산네트워크 구축 등에 있어 제주도의 주도적 역할도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