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9월 안에 3차 정상회담을 갖기로 하는 등 민족적 화해와 단합의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가 북한과의 환경교류 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주연구원 김태윤 선임연구위원은 13일 발표한 '제주특별자치도·북한간 환경분야 교류협력 방향과 과제' 정책이슈브리프에서 2004년~2012년 7월 통일부가 승인한 581건의 경제협력과 사회문화 협력사업 중 환경협력과 관련한 사업은 5건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연구위원은 "제주도에서 환경분야 교류협력을 추진하는 것이 매우 적절하다"며 "북한의 환경실태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 부족, 북한당국의 입장을 충분히 알 수 없는 상태를 고려, 제주도와 북한당국간 공감대 형성을 위한 기반 구축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실제로 북한은 백두산, 구월산, 묘향산, 칠보산, 금강산 등 북한의 5대 명산이 모두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등재돼 유네스코 3관왕과 람사르습지(5곳)를 보유하고 있는 제주도와 '한반도 국제보호지역 명산 네트워크'를 구축, 운영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다.

특히 원희룡 지사가 이미 2014년 12월 제주도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민족화해 제주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한라산·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사업 등 5대 사업을 제안한 점까지 고려하면 환경분야 교류는 지금이 최적기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다 제주도는 1998년 12월부터 천안함 피격사건 직전인 2010년 2월까지 감귤·당근 보내기, 의약품 지원 등 10여년동안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을 추진한 적도 있다. 지금도 남북교류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제주도는 전문성을 더욱 살리기 위해 남북교류센터 등 전담조직을 두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