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산업과 함께 제주경제를 지탱해온 관광산업에 경고등이 켜졌다. 관광객이 감소하면서 질적 성장은 고사하고 양적 성장 마저 둔화되면서 숙박 등 관련 업계가 시련을 겪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본격화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여파로 중국인 등 외국인 관광객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내국인 관광객도 침체되자 제주관광산업의 위기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제주관광산업의 위기론은 한국은행 등 전문기관이 분석한 각종 지표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한은 제주본부의 분석 결과 지난해 제주지역 관광수입은 5조6000억원으로 1년전보다 1000억원 늘었다. 하지만 관광객 유치 과정에서 투입된 수수료 등 중간 비용을 뺀 실질 수입인 '관광 부가가치'는 되레 1000억원 감소했다. 관광객 1인당 부가가치가 11만2000원으로 2년전 11만9000원 보다 하락할 만큼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제주관광산업의 침체 현상은 원희룡 도정 출범 이후 뚜렷하다. 관광산업 실질 성장률은 2014년 15.7%를 정점으로 2015년 7.9%, 2016년 7.1%로 감소한 후 지난해에는 -6.1%의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결국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까지 농림어업에 이어 2위를 유지했지만 2016년은 건설업에 밀리면서 3위로 내려 앉았다. 

올해에도 관광산업 침체 현상이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면서 업체들의 경영난 심화도 우려된다. 숙박업만 해도 여름철 성수기 예약률이 호텔·펜션 40%대, 콘도미니엄 64%에 그칠 만큼 경영난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제주 하늘길·바닷길이 줄어드는 접근성 악화로 내국인 관광객 마저 감소하면서 업계는 물론 지역경제 전반이 힘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적자' 관광산업을 '흑자'로 바꾸기 위해서는 시장다변화와 질적 성장의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공직사회의 전문성 강화를 비롯해 바가지요금·불법행위 근절 등 업계의 자구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