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준공영제와 우선차로제를 도입하는 등 제주의 대중교통체계를 개편한지 지난 26일로 1년을 맞았다. '승용차보다 빠른 버스'를 위해 30년 만에 전격 단행한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만족도와 이용객 수가 증가해 나름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반면 과다한 예산 투입으로 지방재정에 심각한 타격을 줄 것이란 우려도 공존하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버스는 대중교통체계 개편 전 548대에서 개편 후 868대로 58.4%(320대) 늘었다. 버스의 주 노선 수는 89개에서 194개로 117.9%(105개) 증가했다. 하루 버스 운행횟수는 종전 4082회에서 6064회로 48.6%(1982회)나 늘어났다. 올해 대중교통분야 전체 투자예산은 1475억원이다. 이 가운데 민영버스 운영에 투입하는 준공영제 관련 예산은 운전자 인건비 792억원을 포함해 965억원에 이른다.

이처럼 막대한 예산을 퍼부으며 버스 운행을 대폭 확대했으나 이용객은 크게 늘지 않았다. 제주도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버스 이용객은 3085만174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769만2996명과 비교해 11.4%(315만8751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버스가 빨라지고 요금은 저렴해졌지만 주요 이용객이 학생과 노약자 등으로 한정된데 따른 것이다. 생업을 위해 불가피하게 운전하는 사람들을 제외한 도민들이 여전히 자가용 운행을 선호하는 것도 주요요인이다.

이 같은 상황 때문에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태석 도의회 의장은 지난 21일 "중앙차로제 예산을 합치면 올해 교통 관련 예산만 1700억원을 넘어서게 돼 향후 돈 먹는 하마가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지난해 시작한 버스 준공영제를 과거로 되돌릴 수는 없다. 그러나 부분 노선조정, 준공영제 원가절감, 주차정책, 차량총량정책, 보행권 확대, 미래대비 인프라 구축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하지 않는다면 준공영제를 기반으로 한 대중교통체계는 말 그대로 돈 먹는 하마로 전락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