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이 하향 조정될 만큼 제주지역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 제주연구원은 지난달말 '대내외 경제여건 번화에 따른 제주경제 영향과 시사점'을 통해 올해 전망했던 지역경제성장률 4.5%를 4.2%로 내렸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지역내 투자 감소, 국내 경제성장률 하락, 최저임금 인상 등 제주를 둘러싼 외부적 요인으로 하향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사실 제주경제는 제주연구원의 부정적인 전망 이전부터 원희룡 도정의 규제 강화 정책으로 주요 지표들이 악화되면서 위기감이 팽배했다. 외국자본 투자에 힘입어 호황세를 누렸던 건설업은 신규 투자가 부진하면서 하락세로 돌아섰고, 부동산 경기도 한풀 꺾이면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할 만큼 위축되고 있다. 중국인을 중심으로 한 외국인 관광객이 감소한데다 설상가상으로 국내 관광객 증가세도 둔화되면서 숙박·음식 등 관련 서비스업이 타격을 받고 있다.

일자리 창출 효과가 높은 기업유치도 마찬가지다. 외국기업은 제주도정의 일관성 없는 투자유치 정책으로 제주를 떠났고, 대규모 투자유치사업 마저 중단되면서 올해 상반기 외국인직접투자(FDI) 신고액은 전년 동기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양질의 일자리를 공급했던 수도권 이전 기업도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년간 1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처럼 건설업과 서비스업을 비롯해 국내·외 기업의 투자가 저조하면서 지난해 70.9%를 기록했던 고용률 역시 올해 60%대로 추락했다. 

제주경제 전망이 부정적임에도 제주연구원이 그 요인을 외부로만 돌리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제주도가 출자해 설립한 연구원의 태생적 성격상 도정의 잘못을 지적하는게 쉽지는 않지만 대증요법으로 처방하면 지역경제의 저성장이 더 깊어질 뿐이다.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도정 정책들을 분석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원의 역할과 함께 하반기 인사에서 경제팀을 새로 꾸린 민선7기 도정의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이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