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연구원 정책보고서서 확대 및 세분화 통한 선제적 관리 주문
환경 변화 반영 78개 수질관측망 설치로 오염 경로 파악 등 기대

제주 지하수 수질 관측망에 오염감시 기능을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수질관 측정 연속성 확보와 더불어 고지대와 중산간, 하류 지역으로 구분해 수질전용관측정을 설치하는 것으로 지하수 관리를 세분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제주연구원 박원배 선임연구위원은 10일 '지하수 수질관측망 개선방안 연구'정책보고서를 통해 동제주와 구좌, 중서귀에 지하수수질측정망을 추가 설치할 것을 제안했다.

박 연구위원 등에 따르면 제주도는 지하수 수질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1994년부터 100여곳의 관측정을 관리·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이 공공 농업용 지하수 관정인데다 현장여건에 따라 수시 변경되면서 10년 이상 연속적인 측정 자료를 확보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특히 지하수층에 따른 수질 관측이 이뤄지지 않으며 오염 등 문제 발생 때 대응이 힘들다는 점도 우려됐다.

박 연구위원 등은 상·하부 지하수를 구분해 78개 수질 관측망 설치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제주도 전역을 16개 유역별로 나눠 고지대, 중산간 지역, 하류지역 각 3곳의 수질 전용 관측정을 설치하고 1곳 당 상부와 하부 지하수를 별도 채수할 수 있는 관측정 2개를 설치하는 방안을 내놨다.

이를 통해 해발 400m 이상 고지대 지역에서는 순수한 지하수 수질을, 200~400m에서는 오염 가능성 여부를, 하류지역에서는 현재 이용 중인 지하수의 수질 현황과 개선 상황 등을 측정,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지하수 오염물질 무단 배출 등 수질오염 원인과 경로 파악은 물론 수질 변화를 중·장기적으로 모니터 할 수 있는 등 선제적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