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구직급여 대상 36시간 미만 근로자 35.9% 역대 최고 수준
관리·전문직 이탈 심화…'노동시장 구조적 한계 봉착'분석도

제주 지역 취업자 수가 계속 해서 줄고 있다. 심지어 취업자 3명 중 1명은 반(半)실업자로 파악되는 등 고용 재난 상황이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3일 제주특별자치도와 호남지방통계청 제주사무소 등에 따르면 올 1월까지 유지했던 전년 동월 대비 취업자 증가세가 2월 꺾이기 시작해 아직 회복되지 않고 있다. 지난해 7월 38만 명에 이르렀던 취업자수는 올 8월 37만 1000명 선까지 뒷걸음쳤다. 8월만 놓고 보면 폭염 등 환경적 영향을 반영할 수 있지만 2월 이후 7개월째 이어진 감소세를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더 큰 문제는 노동가능인구가 꾸준히 늘고 있는데 반해 정착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제주지역 경제활동 참가율은 지난해 7월 73.2%까지 치솟다가 올 4월 60%대로 진입한 이후 완만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고용 감소폭은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이 가장 컸다. 같은 달 대비 6000명(6.7%) 줄어들었다.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에서도 2000명 정도가 이탈했다. 감소율만으로는 제조업이 10.3%로 가장 높았다. 말 그대로 '일 할 사람이 없다'는 현장에서 사람이 빠졌다.

많게는 5만 6000명 선을 형성하던 관리자·전문가 그룹이 6월 이후 최근 4년 중 최저 수준인 4만4000~4만 5000명 선에 머무는 상황도 불안 요인이다. 8월을 기준으로 전년 동월대비 12.1%나 감소했다.

특히 실업자 외에 구직급여 신청 대상인 36시간 미만 근로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상황도 이상 조짐으로 꼽히고 있다.

관광성수기와 방학, 농번기 등 계절적 특성을 반영해 2월 또는 7·8월 전체 취업자의 25%대 수준을 형성하던 36시간 미만 근로자 비중이 올 8월 35.9%로 급증했다. 전년 동월 대비 21.2%(2만3000명) 늘었다. 지방선거 등의 영향으로 30.4%를 기록한 6월을 제외하면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이 같은 현상은 주력 산업이 구조적 한계에 봉착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경기가 하강 국면에 접어드는 가운데 구직자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는 줄어들고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영세업체 채용이 위축되는 위기 상황이라는 얘기다.

여기에 제주도의 일자리 정책이 '청년 중심' '양질의 신규 일자치 창출'에 맞춰지며 사면초가를 자초하고 있다는 분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