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필 사회부장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결정됐다. 면역 항암제 개발의 기틀을 마련한 제임스 앨리슨 미국 텍사스대 MD앤더슨 암센터 교수(70)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76)가 수상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연구소 노벨위원회는 지난 1일(현지시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본은 지금까지 20명 넘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면서 의학 강국임을 전 세계에 과시했다. 

노벨위원회는 "2명의 과학자는 면역 세포의 작동을 막는 생체 내 제동 장치를 제거해 면역 세포로 암 조직을 공격할 수 있게 해 인류의 암과의 싸움에 새 이정표를 세웠다"고 평했다.

앨리슨 교수는 1990년대 중반부터 25년간 'T-세포'(면역 기능에 관여하는 백혈구)에 있는 'CTLA-4' 단백질을 연구했다. 이 단백질은 T-세포 활동을 억제해 면역력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항암제가 암세포를 직접 공격했다면 새 치료법은 T-세포의 면역 기능을 강화해 암세포를 물리치게 하는 것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혼조 교수도 1992년 T-세포 표면에서 'PD-1'이라는 단백질을 발견했고, 암세포가 이것을 활용해 공격을 피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PD-1의 작용을 억제해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졌다. 

일본 제약사 오노약품공업과 미국 제약사 브리스틀마이어스 스퀴브는 사람이 본래 갖고 있는 면역력으로 암세포를 공격하는 치료제 '옵디보'를 개발했다. 이 약은 피부암과 폐암 치료에 널리 쓰인다. 

정부가 집계한 국가암등록통계 등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매년 20만명 넘는 암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 100만명 넘는 암환자가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의학기술 발달로 암환자 생존율이 점차 높아지고는 있지만 암은 여전히 치료가 쉽지 않고 환자와 가족에게 큰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등 다른 나라의 의학기술 발전을 지켜볼 것만이 아니라 국내에서도 암치료를 위한 연구에 보다 과감한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