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제탑은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해 이·착륙을 유도하고 이상 여부를 감시한다. 활주로·유도로·주기장 등 비행장 구석구석을 잘 볼 수 있는 곳에 있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제주국제공항의 관제탑에 사각지대가 있다니 걱정이다. 관제직원들의 활주로 상황을 제대로 볼 수 없어 항공기 충돌 등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국회 박홍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제주공항 관제시설 문제' 자료에 따르면 관제탑을 받치는 기둥 2개가 관제직원들의 시야를 막고 있다. 기둥이 가리는 부분은 '메인(동서) 활주로-주요 유도로'와 '메인 활주로-보조(남북) 활주로' 교차지점이다. 활주로 감시 사각지대가 있다보니 사고 위험도 잠재할 수밖에 없다. 실제 지난해 9월 메인 활주로에서 민간 항공기가 해군 대잠초계기와 충돌 직전의 위기를 가까스로 벗어났다. 또 2013년 9월에도 이·착륙중인 항공기 2대가 충돌할 뻔했다. 이들 사고 모두 관제탑 시야를 가리는 지점에서 발생했다는 것이 박 의원의 지적이다.

제주공항 관제탑의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일부 관제 장비도 낡아 제기능을 못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03년 설치된 제주공항의 지상감시 레이더가 지난해 11월 내구연한을 넘긴데다 2007년 설치된 레이더자료 자동처리시스템도 예비장비가 단종돼 부품 수급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내년 6월 내구연한이 끝나는 주파수 통신장비도 오류가 허다하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기획재정부는 시급성이 떨어진다며 국토교통부가 요청한 관제탑 신축과 장비 교체 예산 편성을 거부했다니 이렇게 안일할 수가 없다.

제주공항은 하루 458편의 항공기와 승객 8만1000여명이 이용한다. 활주로 관리에 조금이라도 문제가 있어서는 곤란하다. 특히 항공기 사고는 대형 인명사고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무엇보다 안전에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된다. 사고가 난 뒤에 후회해봐야 소용없다. 하루빨리 제주공항 관제탑 신축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