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훈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세계섬학회장

지난 8일 '제주 4·3인권과 배상적 정의 한·미·일 중앙대 컨퍼런스'에서는 제주4·3수형인재판에서의 '인권회복과 배상판결이 사회치유의 길'임을 제시했다. 

이어 지난 10일 제주4·3 70주년 기념 교육부문 '제주 4·3 평화·인권교육을 통한 사회적 치유방안'의 제주대 토론회에서는 마을단위의 사회치유 방안이 제시돼 주목을 받았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난 1940년대 초반 미국의 일본계 강제구금사건(Japanese American Internment) 재심에 참여해 1984년 프레드 코레마츠 사건 등의 재심 사건을 맡아 1988년 미국의회가 시민자유법 (Civil Liberty Act of 1988)제정에 참여해 1992년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6만명의 사건 희생자들 개개인에게 대통령이 사과하고 2000만원의 배상금을 지원하고 피해자 후손들에게 교육기금을 만들어 냈다는 경험을 발표했다.

이일에 기여한 에릭 야마모토 교수는 제주 4·3 관련 18명의 수형인들도 불법적인 계엄령과 고문 등의 가혹행위에 옥살이를 한 이들의 명예와 고 제주공동체의 피해를 회복해 국제사회에서의 평화적 역할을 지원하고 후손들을 교육시키는 계기가 되길 소망했다. 

프레드 코레마츠가 전체 일본계 미국인 강제구금사건의 전체적 명예를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한 만큼 제주4·3수형인 재판이 한국사회 전체에서의 제주4·3 대비극의 희생자의 명예를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이러한 재판의 내용이 미군정시대 임시군사자문단의 역할을 조명하는 연구가 이뤄진다면 지금까지 제주4·3의 사회적 치유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정부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전망도 제시했다.

지난 10일 제주대 아라컨벤션홀 토론회의 주제는 교육현장과 마을에서의 "평화·인권 교육을 통한 4·3의 사회적 치유방안의 경험을 드러내는 시간이었다. 4·3 교육을 받았던 대학생과 4·3피해자치유 당사자인 4·3유족, 현장교육을 담당하는 교사, 시민단체 관계자, 4·3길 해설사 등이 자신들이 체험하고 있는 4·3치유의 내용을 드러내고 제시하며 공감대 형성을 이뤄내는 시간이었다. 주제발표를 한 임애덕 박사는 이러한 교육현장과 마을의 세대간 소통교육의 사례 연구 10년의 겸험을 제주4·3치유의 심리교육모델로 정리 제안하면서 피해자들이 스스로 4·3에 대한 피해로부터의 안정과 안녕, 기억과 애도를 할 수 있는 마을단위의 노력을 제도화할 것을 지방자치단체에 제언했다. 

제주4·3의 인권과 배상적 정의를 포괄하는 사회치유의 길에 대한 미국강제구금 사건과의 연대와 제주 4·3 인권 평화의 현장교육과 마을단위의 실천을 논의한 두 포럼의 참가 대학생들은 제주4·3 70주기 기념사업회가 주도한 미국책임과 사과를 촉구하는 10만명 서명운동을 높이 평가하면서 참가자들이 이러한 취지의 70주기 기념운동을 제주4·3국제배상청원 온라인 서명운동으로 계승, 발전시켜 올해 제주 4·3 10만명 서명운동 취지를 이어나가면서 외국의 대학생들과 학자들의 참여로 이어진다면 제주4·3치유의 인권, 평화교육의 사회치유방안에 대한 국제적 관심을 갖게 할 것이라는 의견교환이 있었다. 외국의 학자와 대학생과 지금까지 참여하지 않은 한국인이 제주4·3치유의 국제배상 청원 온라인 서명운동에 참여를 시킬 수 있다면 제주 4·3인권회복과 배상정의의 사회치유 방안이 일본계 강제구금사건의 세계사례와 공유하면서 제주4·3 수형인 재판과 제주 4·3치유의 교육과 마을 현장을 연결시키면서 제주4·3의 사회치유에 미국정부의 참여를 요구하는 국제배상의 청원운동으로 넓혀나갈 수도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