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관광객 증가로 제주가 직면한 최대 현안 중 하나가 쓰레기 처리 문제다. 제주도가 여러 가지 처방책을 내놓고 있지만 도내 모든 매립장 면적이 포화에 임박하면서 경고등이 켜진지 오래다. 특히 안정적인 쓰레기 처리를 위해 추진중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공사 역시 제주도정의 약속 위반에 반발하는 주민들의 공사 반대로 중단, 처리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도는 쓰레기 매립장들의 포화가 임박하자 지난 2013년부터 도 전역 폐기물을 통합 처리할 환경자원순환센터를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조성하고 있다. 당시 도는 제주시와 함께 다양한 지원책을 제시하면서 혐오시설 입지를 반대하는 주민 설득에 총력전을 펼쳤다. 결국 동복리는  2014년 4월29일 주민투표에서 69.8% 찬성으로 유치를 결정했고, 5월7일에는 주민지원 사업을 담은 도지사·제주시장·마을리장 3자간 협약서가 체결됐다.

하지만 도의 협약 불이행으로 동복리 주민들이 지난 1일부터 환경자원순환센터 공사 중지 단체행동에 돌입, 폐기물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도내 매립장들의 포화가 임박한 가운데 내년 1월 환경자원순환센터 준공 일정이 늦어지면 처리 대란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도는 소각시설 폐열 주민 농경지 보급, 전기발전시설 수입 환원 등 입지선정 협의 당시의 약속을 이행하지 않아 주민 반발을 초래하고 있다.

안정적인 쓰레기 처리를 위해 도는 4년전 주민설득의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협약서에 명시는 안됐지만 당시 소각로 폐열관로 시설 열대작물 재배 등 다양한 수익사업 발굴·지원을 약속했다. 2015년 당시에는 김병립 제주시장이 주민 간담회에서 농경지 폐열관로 설치로 시설하우스 단지 이용이 가능하다고 답변했고, 도 역시 지난해 환경부의 주민소득향상사업으로 폐열 활용 유리온실을 추진하고 있다. 감언이설로 주민을 속이면 누가 도정을 신뢰할 수 있나. 전임 도정에서 어렵사리 마련한 합의의 판을 현 도정이 깨트려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