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도정이 민선6기에 이어 민선7기의 제주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질적 성장 카드를 또다시 꺼내들었다. 민선6기 당시인 2016년 연간 방문 관광객 1500만명이 넘는 양적 성장을 질적 성장으로 바꾸겠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성적표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매력적인 관광상품 부족으로 질적 성장은커녕 양적 성장 마저 감소하면서 업계를 중심으로 생존의 위기감마저 팽배하자 다시한번 질적 성장에 도전장을 던진 것이다. 

민선7기 도정은 지난 8일 대내·외 환경 변화와 경기침체 영향 등으로 침체된 제주관광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제주관광진흥전략회의'를 본격 가동했다. 민관 관광진흥전략회의의 목표는 양적 관리 내실화와 질적 성장 전환 등의 선언적 정책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2년간 고픔질 관광산업을 위해 양적성장 관리는 물론 질적 성장 정책도 제대로 추진하지 못한 반성의 시간도 가졌다. 

돌이켜보면 민선6기 도정은 관광산업의 질적 성장 추진 2년간 허송세월을 보냈다는 책임론에서 자유로을 수 없다. 급상승하던 관광객 증가의 양적 성장은 지난해 19년만에 멈추면서 처음 감소세로 돌아섰다. 질적 성장의 대표적 지표인 관광산업의 순소득 부가가치도 2016년 대비 1000억원 감소했고, 관광산업 실질 성장률은 2014년 15.7%를 정점으로 2015년 7.9%, 2016년 7.1%로 감소하다 지난해 -6.1%로 '마이너스 성장'을 보일 만큼 뒷걸음질했다.

민선7기 도정이 대한민국 관광1번지의 명성을 되찾으려고 질적 성장의 재도전에 나선 것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예전처럼 구호만 요란해서는 안된다. 세계 유수관광지의 복합리조트처럼 매력적인 관광상품이 부족한 가운데 바가지 요금 등 부정적 이미지만 쌓이고 있다. 제주관광이 청정 자연환경에만 의존해온 고정관념에 빠져 내·외국인 관광객들의 지갑을 열 만한 볼거리, 즐길거리, 살거리가 부족한 것은 아닌지 반성해야 할 일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