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산 노지감귤이 본격 출하된 가운데 애월읍 광령리 한 감귤원에서는 수확작업이 한창이다. 김용현 기자

계통출하 제고 방안 가격보장 70% 응답 유통센터 15%
우선추진사업 우량종묘보급 31%, 가공제품개발 25% 순
타 작목으로 전환시 71%가 망고 키위 등 열대작목 선택  
만감류 가격하락 원인 품질 41% 과잉생산 수입과일 26%씩

제주지역 감귤농가들은 농감·협 계통출하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격보장이 이뤄져야 하고, 감귤산업발전을 위해 우량종료 모급을 우선 사업으로 꼽았다. 결국 농가들은 가격과 품질 '두 마리 토끼'를 잡기를 원하고, 제주도와 농협 등 농정당국들은 농가의견을 수렴해 정책과 사업에 반영해야 한다. 특히 상당수 설문문항에서 연령대 별로 의견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돼 농가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조율과정도 필요하다. 제민일보는 제주특별자치도와 (사)제주감귤연합회, 제주농협 공동으로 제주감귤생산농가 대상 의견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의견조사는 미래리서치에 의뢰해 도내 감귤농가 1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월4일부터 13일까지 실시했다.

전체 감귤 출하량 중 농·감협을 통한 계통출하 비율이 50%를 밑도는 상황에서 감귤농가들은 계통출하량을 높이기 위해 안정된 가격을 보장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농·감협 계통출하 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감귤농가 70%가 '계통출하 가격 보장'을 꼽았다. '농·감협 유통산지센터 확대'와 '농·감협 인력체계 구축'은 각각 15% 씩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60대 85%가 '계통출하가격 보장'을 응답했고, 70대 이상도 80%를 꼽는 등 고령농가일수록 가격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40대의 경우 계통출하가격 보장은 41.2%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고, 반면 농·감협 감귤유통산지센터 확대의 응답률은 35%로 다르 연령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농·감협 인력체계 구축도 23.5%나 응답하는 등 가격보다는 농감·협의 유통기반 확충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40대 미만 역시 계통출하가격보장이 61.5%로 전체 응답률보다 크게 낮았고, 농·감협유통산지센터 확대 응답률은 30.8%로 큰 비중을 두고 있다.

'행정과 생산자 단체 등이 감귤산업 발전을 위해 우선 추진해야 할 사업'에 대한 설문에 대해 '우량종묘 보급'이 31.0%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감귤가공제품개발 26%, 노동인력확보와 열대과채류 등 새로운 작목보급이 각각 21%씩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40대 미만의 경우 46.2%가 노동인력확보로 가장 높았고, 감귤제품개발은 23.1%로 조사됐다. 우량종묘 보급은 15.4%에 불과했다.

40대의 경우 우량종묘보급이 41.2%로 연령별 중 유일하게 40%를 넘었다. 50대의 경우 감귤가공 제품개발에 대해 31.4%로 응답하는 등 연령대 중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70대 이상의 경우 '우량종묘보급'과 '열대 과채류 등 새로운 작목 보급', '노동인력확보'가 각각 26.7%씩 조사됐고, 감귤가공제품개발도 20.0%로 응답하는 등 의견이 분산됐다.

감귤농가들은 감귤 이외에 다른 작목으로 전환할 경우 열대작목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귤류 이외 타 작목 전환시 선호 품종'을 묻는 설문에 대해 '망고·키위 등 열대작목'이 71%나 달했다. 감·배 등 다른 국내과일이 11%였고, 무 8%, 채소류 7%, 화훼류 3% 등으로 분석됐다.  

연령별로는 젊은 농가일수록 열대작목을 선호한 반면 고령 농가일수록 상대적으로 국내과일과 무 등의 선호도가 높았다.

열대과일의 경우 40대 미만과 40대가 각각 84.6%와 82.4%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50대와 60대, 70대 이상은 각각 68.6%, 65.0%, 60.0%로 응답해 40대와 그 이하 연령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60대와 70대는 다른 국내과일에 대해 각각 15%와 20%로 응답했고, 무의 경우도 10%와 13%로 조사되는 등 기존 국내서 재배하는 품종을 더욱 선호했다. 50대의 경우는 11%가 채소류를 응답하며 연령별로 유일하게 10%를 넘었다.

제주감귤농가들은 최근 들어 만감류 가격하락의 가장 큰 원인으로 품질문제를 꼽았으며, 과잉생산과 수입과일 증가 등도 주요 원인으로 판단했다.

'만감류 가격하락 원인' 설문에서 농가 45%가 '맛과 크기 등 품질문제'을 응답했고, '만감류 과잉생산'과 '오렌지 자몽 등 외국산 과일수입확대'에 대해 각각 21%씩으로 꼽았다.

또한 '전남 경남 등 타 지역 만감류 재배 확대'는 8%, '사과 배 복숭아 등 국내과일의 시장확대(잠식)'은 4%로 조사됐다.

모든 연령대에서 '품질문제'에 대한 응답률이 40%를 넘는 등 대체로 공동된 의견을 보였다.

2018년산 노지감귤이 본격 출하된 가운데 애월읍 광령리 한 감귤원에서는 수확작업이 한창이다. 김용현 기자

하지만 40대 미만은 30.8%가 '만감류 과잉생산'를 응답한 반면 50대는 34.3%가 '외국산 과일 수입확대'로 답하는 등 의견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40대는 품질문제 다음으로 만감류 과잉생산에 29.4% 꼽는 등 다른 연령대보다 응답률이 높았다.

매해 고질적으로 반복되는 극조생 감귤부패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농가들은 '수확전 품질향상제 및 부패방지제 살포'에 대해 35.2%로 가장 많이 응답했다.

그 다음으로 '세척 및 왁스코팅 금지'에 대해 29.6%로 응답했고, '정밀수확 및 운반과정 주의' 15.1%, 자동화물체계구축 11.1%, 해충약살포 9.0% 순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은 '세척 및 왁스코팅금지'에 대해 36.7%로 가장 많이 응답하며 다른 나이대와 생각이 달랐다.

40대는 '품질향상제 및 부패방지제 살포'에 대해 44.1 응답, 나이대 중 유일하게 40%를 넘으며 가장 응답률이 높았다.

정밀수확 및 운반과정 주의 항목의 경우 40대 미만이 30.8%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등 주요한 부패원인으로 보고 있다.

감귤정책 요구사항에 대해 '운송비 절감 방안 마련', FTA 관련 지원사업 확대, 노동인력 확보정책과 지원, 노지감귤농가 지원확대, 미성숙감귤 출하금지, 조기출하방지 및 택배사업금지, 점수제 폐지, 직거래 활성화, 유통비용 지원, 출하량 조졸, 품질향상에 대한 생산자 의식 개선 등을 제시했다. <끝>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