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하러 가는 제주 해녀(국가기록원 1978년 자료).

문재인 대통령 올해 광복절 약속 불구 추가 발굴·포상 작업 답보 상태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주년 토론회서 '미해결 과제'실천적 대안 주문

문재인 대통령이 제73주년 광복절 경축사 통해 약속했던 제주해녀 항일운동에 대한 '정당한 평가와 예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당시 해녀항일운동을 주도했던 해녀 5명 중 고 김계석·고차동(고순효) 해녀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 작업이 답보 상태에 있는 가운데 문화유산과 어업유산, 역사 유산 등을 적절히 연결하는 작업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문이 나왔다.

국가보훈처는 지난해 해녀항일운동 등 여성독립운동가 발굴·포상 확대 계획을 내놨다. 내년 3·1운동 100주년을 앞두고 대대적인 재평가 작업을 진행했지만 이들 두 해녀와 관련한 자료가 독립유공자 인증을 하기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제주도가 올해 처음 진행한 해녀의 날 행사에서 먼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은 고 김옥련·부덕량·부춘화 해녀의 흉상을 제주해녀항일운동기념탑 인근에 세우는 것으로 계승 의지를 확인했다.

지난달 30일 아스타호텔에서 열린 '제주해녀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주년 기념 학술대회'도 제주해녀항일운동 조명을 주제로 다루면서 향후 과제를 살폈다.

조성윤 제주대학교 교수(사회학)는 '제주해녀 투쟁의 사회사적 의미' 발표를 통해 해녀항일운동의 시작점에서 수산업의 역할을 놓치지 말 것을 경고했다.

조 교수는 "제주해녀를 문화유산으로 강조하면서 수산업 종사자로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고 있다"며 "해녀들의 생업활동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박제한 관광 상품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계했다.

'제주해녀항일운동의 기억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한 박찬식 제주학연구센터장은 "해녀항일운동은 생존권·생활권·이권 수호를 위한 움직임 정도로 기록하며 기억을 위축하는 결과를 낳았다"며 "제주해녀와 해녀항일운동에 대한 보다 보편적인 인식확보가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또 "해녀운동 주역의 독립유공자 추가 선정과 해녀운동 관련 사적지에 대한 고증, 기념 표석 설립 등 기념사업은 아직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다"며 "내년 3·1운동 100주년을 맞춰 제주해녀항일운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기념사업 계획 수립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