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상황이 악화되면서 정부와 전국의 자치단체가 일자리 창출 대책 마련에 분주한다. 제주도 역시 지난해 1월 2조8367억원을 투자해 2018~2022년 5년간 일자리 2만5000개를 창출하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세부적으로는 공공부문에서 2750개, 민간부문에서 2만2430개를 창출하는 내용으로 짜여졌다. 여기다 올해 6·13 지방선거의 원희룡 지사 공약을 반영해 3만3000개로 늘리는 수정계획을 연말까지 마련하고 있다. 

도가 이처럼 일자리 창출 계획에 주력하고 있음에도 도민에게 신뢰감을 심어줄 실효성은 낮아 보인다. 제주를 둘러싼 경제 상황이 좋지 않아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29일 열린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의 내년도 예산안 심사장에서도 현실성이 결여됐다는 도의원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5년간 2만5000개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매년 5000개를 만들어야 하지만 관광·건설업 부진 등 어려운 경제 여건을 감안할 때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도의회의 지적처럼 도의 일자리 창출 로드맵은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졌다. 도가 투자유치 등을 통한 지방세입 증가분으로 일자리를 늘리겠다고 밝혔지만 구호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전임 도정의 노력으로 호황기를 누렸던 외국인 투자는 원 도정 출범후 일관성 없는 정책 및 지나친 규제로 신규 투자가 전무할 정도다. 그래서 투자유치로 일자리 창출의 재원을 만들겠다는 계획은 신뢰를 얻기 힘들다. 

민간 투자유치로 1만5000개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계획도 마찬가지다. 외국 투자기업을 내쫓으면서 민간 부문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것은 '우물에서 숭늉 찾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도의 일자리 창출 로드맵은 도민들로부터 쏟아질 고용 악화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일자리 창출 로드맵이 도민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민간 고용을 확대할 국내·외 민간자본 유치 등 원 도정의 인식부터 달라져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