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순영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 동부농업기술센터 소장

사회적 농업이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사회적 농업은 농업이 이제까지 추구해오던 '생산'이 목적이 아니라 '치유와 돌봄'의 가치를 목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일을 잘하는 사람을 고용해 농사를 짓은 것이 아니라 일 능률이 다소 낮은 취약계층들을 대상으로 농업과 농촌의 갖고 있는 장점을 활용해 재활, 교육, 급여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회적 농업은 '노동' '돌봄' '교육' 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노동부문은 일자리가 없는 사람들을 일손이 필요한 농장을 연결해 주는 사업이다. 장애나 노령 등으로 일자리를 갖지 못하는 분들에게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돌봄 부문은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가지신 분들을 치료하는 사업이다. 직접 농사를 지으면서 보람도 느끼고 동료와 교감도 나누는 사업으로 선진국에서는 치매, 노약자들의 치료활동으로 이용되고 있다. 교육부문은 귀농을 희망하거나 도시 청소년 및 농업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농업을 배우고 농사체험을 통해 새로운 직업으로의 농업을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사업이다. 

사회적 농업은 케어(Care)가 필요한 사회적 약자에게 농장에서 일을 할 수 있도록 연계해 주고 이를 통해 정신적, 심리적 치료와 건강을 갖게 한다. 또 이들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매되는 과정 등을 공유해 성취감을 맛보게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일 능률이 낮은 이들을 고용하면 그에 대해 농장주에게 보상도 해야 하고 활동이 불편한 이들이 일하려면 농장 형태도 안전과 치료, 교육을 위한 구조 변경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네덜란드 같은 선진국에서는 사회적 농업이 활발하지만 우리나라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장애인 재활 및 고용, 노인일자리, 결혼이민자의 귀농을 돕는 시작단계이다. 

사회적 농업이 제주에서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하지만 원예치료사 양성과정 교육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고 마스터가드너 교육을 이수한 이들이 많은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각 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는 시범 사업 중에도 앞으로 사회적 농업과 연계 가능한 사업들이 있다. 제주에서 사회적 농업이 시작되려면 농업기관뿐만 아니라 의료, 법률, 기업, 학교 등 다양한 기관 및 단체와 농가가 참여하고 예산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앞으로 사회적 농업은 새로운 농업의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