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서 한국현대사 상징성 등 강조
수형생존자 등 80.2% "명부 등재 내용 인정 못해" 60.1% "공식기록 필요" 

제주4·3의 완전 해결과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제주4·3의 이름에 저항과 항쟁의 의미를 부여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제주4·3 70주기를 마무리하면서 서울과 제주 등에서 잇따라 제주4·3의 정명(正名)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며 공론화를 통한 '사회적 정명'필요성에 힘이 실렸다.

6일 오후 제주시 하니크라운호텔 별관 2층 회의실에서 열린 제주4·3 목포형무소 수형희생자 실태조사 보고회 및 제주 4·3과 여순항쟁 70주년 기념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올 한해 4·3 정명 작업을 통해 논의했던 한국 현대사에서 갖는 상징성과 의미를 곱씹었다.

주철희 여순사건 연구가는 주제발표를 통해 "1948년 4월 3일을 기준으로 제주4·3은 항쟁"이라며 "항쟁은 지배 권력의 부당함에 맞서 싸우는 것을 말한다. 미군정 등에 의해 실시된 5·10 단독 선거를 저지하고자 한 '정치적 저항'이란 점을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연구가는 또 "역사의 명칭은 사건의 성격에 기인 한다"며 "제주4·3이 대한민국 역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고 어떠한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분명히 해야만 제 이름을 찾을 수 있다"고 피력했다. 
 

박찬식 제주학연구센터장은 토론에서 "정부 차원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과정에서 '억울한 죽음'이 강조되는 만큼 항쟁의 의미가 희석되고 있다" 며 "제주4·3 희생자들은 아무런 이유 없이 죽은 것이 아니라 제주공동체를 위해 희생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제주4·3은 외적 탄압에 대한 제주 공동체의 정서적 자치 지향을 반영한 저항운동이었다"며 "단독정부 수립을 거부한 통일운동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날 공개한 제주4·3 목포형무소 실태조사에서 수형생존자 및 유족 80.2%가 수형인 명부 등재 내용에 대한 인정을 거부했다. 하지만 '수형인 명부 폐기'에 대해 강한 반대 (75.7%)입장을 보였다. 그 이유로 4·3과 관련한 유일한 공식 기록(60.1%)이자 피해·가해 여부를 가리는 자료(25.0%)라는 점을 들었다. 4·3해결과정에서 추가 진상조사(44.5%)와 피해보상 및 배상(31.2%)을 희망하는 마음과 맞물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