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관광공사(자료사진).

6월부터 전국 적용 제도 시행 시범사업 결론 제자리걸음
유사 제도 옥상옥 등 무용론…최종보고회 '비공개' 의혹만

제주도가 관광시장 다변화와 질적 성장을 내걸며 제시했던 '제주관광품질인증제'시범사업이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등 헛물을 켤 공산이 커졌다. 

제주도는 지난 2016년 저가 관광 문제 해결책 중 하나로 도내 관광상품 품질 인증 방안 마련안을 내놨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추진하는 한국관광 품질인증제도와 연계해 제주형 인증제를 시행한다는 목표를 설정했지만 매뉴얼 개발 등 기본 단계도 밟지 못한 상황이다.

제주형 관광인증제 관련 용역은 이미 지난해 마무리됐다. 관광진흥법 개정으로 올6월부터 한국관광품질인증제가 시행됐지만 '제주 특성을 반영한다'는 계획조차 실현하지 못하는 등 업계 안팎에서 제기된 무용론을 2년에 걸쳐 확인한 셈이 됐다.

제주도는 지난 2008년 제주형 관광지 등급제 도입을 시도했다가 업계의 거센 저항을 받았다. 이번 품질인증제는 이를 보완·확대한 형태로 고부가가치 제주 관광상품 시장 조성을 목표로 설정했지만 '현실성이 부족한 옥상옥'지적에 발목이 잡혔다.

업계에서는 한국 관광 품질인증 외에도 호텔 등급제 등 숙박시설 인증제도가 있고 제주도 자체적으로 우수관광사업체 선정과 사립미술·박물관 평가인증제를 실시하고 있어 별도의 품질 인증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을 우려했다.

인증 작업 중첩 등으로 관광서비스 질 개선 등 본연의 목표를 상실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관광 상품에 대한 정보 접근 통로가 늘어나면서 평가 가능 지표만으로 부가가치 인증이 가능하지에 대한 회의론까지 나오는 등 쉽게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도가 관광품질인증제 시범사업 용역 관련 내용을 일체 공개하지 않으면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는 지난달 중간보고회에 이어 20일 진행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