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읍·면 혼합배출 개선 언제면

가연성과 섞여 봉개동 소각장 반입…악취 차단 한계
내년 동복리 순환센터 준공전 민간위탁 등 대책 필요

제주시 삼도동에 설치된 음식물계량장비(RFID)로 읍·면지역 보급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자료사진

제주시 읍·면지역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이 여전히 가연성폐기물과 혼합 배출되고 있어 소각장 악취 차단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제주시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소각시설 준공 이전까지 음식폐기물 배출방식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음식물계량장비 확대 감감

제주시는 지난 2011년부터 최근까지 26개 읍·면·동 가운데 19개 동지역에 음식물계량장비(RFID) 3052대를 설치, 운영 중이다.

음식폐기물을 가연성폐기물과 분리해 배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클린하우스 및 소각장 악취 저감, 소각시설 효율성 제고 등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제주시 읍·면지역에는 음식물계량장비가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제주시 봉개동 음식물자원화센터 1일 반입량이 139t으로 처리용량 110t을 넘어서다보니 읍·면지역 음식폐기물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때문에 제주시 읍·면 음식폐기물이 가연성폐기물과 혼합된 상태로 제주시 봉개동 북부소각장에 반입, 악취 발생 및 소각시설 처리능력 저하 등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비해 서귀포시는 동지역은 물론 읍·면에도 음식물계량장비를 설치했다.

서귀포시 지역 음식물계량장비는 동지역 875대, 읍·면지역 762대 등 1637대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읍·면지역에 음식물계량장비를 설치했으며, 이달 말부터 음식폐기물을 분리 배출한다는 계획이다.

서귀포시 색달동 음식물자원화시설 역시 1일 처리용량 46t보다 많은 70t이 반입되고 있지만 초과량을 민간위탁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악취·소각능력 저하 우려

제주시 읍·면 음식폐기물이 가연성폐기물과 혼합 배출되면서 내년 준공 예정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매립장은 내년 1월, 소각장은 내년 10월 준공 예정으로 읍·면 폐기물 소각처리과정에 악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귀포시 색달동에 광역음식폐기물처리시설이 조성중이기는 하지만 2022년부터 본격 가동될 예정으로 한참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만약 장기간 음식폐기물이 혼합된 가연성폐기물을 소각하다보면 악취는 물론 소각장 처리능력까지 떨어질 수 있어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소각장 준공 이전까지 제주시 읍·면 음식폐기물을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계량장비 설치방안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민간위탁방식으로 읍·면 음식폐기물을 봉개동 음식물자원화센터에 반입해 처리할 수 있지만 주민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김경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