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안정 화두…지역 현안 갈등 해소 최우선 과제로
제2공항·강정공동체 회복 등 난제, 행정체제 개편 고민
'제주의 봄' 위한 연대, 열린 소통·협력으로 큰 판 짜야

['3·1운동 100주년' 도민 모두 뜨겁게 하나되는 기해년으로] '눈물과 피와 푸른 빛 깃말을 날리며 너는 오너라'하고 목놓아 외쳤던 '그날', 하나로는 미약했던 목소리가 모여 뜨거운 함성이 됐다. 2019년은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며 하나가 됐던 3·1운동과 주권 회복·수호의 의지를 담았던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해다. 동학농민혁명에서 3·1운동을 거쳐 해방공간과 4·19혁명, 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화운동 그리고 촛불혁명까지 한국 근현대사의 의미 있는 한 획을 시작하는 해가 뜬다. 71주기를 맞는 제주 4·3의 완전해결과 정명찾기 역시 같이 불씨를 키운다. 제주섬 역시 뜨겁게 흔들었던 3·1운동의 현장 조천만세동산에서 올 한해를 관통할 답을 묻는다. 우리는 왜 기억해야 하는가. 김대생 기자.

혁신·안정을 내건 2019년 기해년(己亥年)이 파란의 2018년 무술년(戊戌年)으로부터 바통을 넘겨받았다.

올해는 민선 7기 지방정부가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는 중요한 한 해다. 선거 같은 굵직한 정치 이슈는 없지만 민생 안정과 균형 발전 등 제주 미래를 위한 작업을 실현해야 한다는 과제가 던져졌다.

제주 사회가 꼽은 주요 화두는 지역 현안을 놓고 빚어진 갈등 해결이다.

지난해 '제주 제2공항 입지 선정 타당성 재조사 용역'검토위원회 구성 등 해소가 기대됐던 제2공항 갈등은 국토교통부가 검토위원회 활동기한 연장을 거부하고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들어가며 심화됐다. 제주도는 '도민들이 바라는 방향'으로 문제를 매듭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 채 국책사업의 차질 없는 진행이라는 구상을 내놓고 있어 갈등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다. 예방적 갈등관리와 현안 공공갈등 조정 및 해소를 골자로 1월 중 수립할 갈등관리 종합계획이 어느 정도 효과를 낼지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이르면 7월 최종 확정할 예정인 제주국립공원 지정은 자연 자원 보존의 명확한 경계를 설정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재산권 제약·침해에 대한 대안과 사유지 관리 방안 등의 해결책 모색이란 과제를 남겨놓고 있다.

행정체제 개편도 올해로 넘겨진 해묵은 숙제 중 하나다. 제주도와 제주도의회가 소통을 통한 적극적 현안 해결을 목적으로 구성하는 상설정책협의회의 원활한 작동이 선결과제다.

제주특별법 일부개정안(6단계 제도개선)이 국회에서 표류하면서 미뤄졌던 '제주 곶자왈 지대 실태조사 및 보전관리 방안 수립'과 차고지증명제, 환경 부담금 도입 등의 시행 여부에도 도민사회의 관심을 받고 있다.

지역 세수 증가폭이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버스준공영제와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일몰제 대응 등 예산 부담을 어떻게 해소할지도 현안으로 꼽히고 있다.

지하수 등 물 관리와 쓰레기매립장·하수 처리, 악취 관리 등 인구 증가와 관광객 급증 등 사회환경 변화로 불거진 민생 현안들에 있어 도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수준의 대책을 제시하는 것도 중요해졌다.

제주 지역 주요 경기 지표가 위험신호를 보내고 있는데다 경기 둔화로 인한 민생경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 등도 관심사다.

무엇보다 '포스트 4·3 70주년' '제주의 봄'에 대한 기대감을 지켜야 한다는 지상과제를 잊어서는 안 된다. 3·1운동 100주년 등 일련의 흐름과 연계해 4·3특별법 개정안 통과에 주력해야 한다. '강정 마을 공동체 회복이 제주 발전'이라는 다짐을 지켜야 하는 과제도 있다.

선택과 집중을 내걸고 백지화 또는 원점 재검토 선언을 했던 각종 현안에 대한 방향 설정은 물론이고 제주산농산물 해상운송비 지원·제주국립해사고 설립 등 도민 숙원도 남아있다.

산적한 현안과 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그 어느 때 보다 열린 소통과 대승적 협력이 필요하다.

도민이 행복한 더 큰 제주 완성을 위해 지역공동체 회복과 이를 바탕으로 도민 통합을 실현하는 큰 그림이 기대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