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담 부서·사업회 구성 전무…전국 단위 행사 연계 뿐
평화교류사업 활용 등 타 지자체와 다른 행보·소극대응

조천만세동산 일출 모습(자료사진).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이를 지역 현안과 연결하고 문화·역사유산 발굴 등 경쟁력 제고 방안으로 활용하려는 전국적 움직임과 달리 제주의 소극적 대응이 우려를 사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자랑스러운 국민, 정의로운 국가, 평화로운 한반도'라는 비전아래 3·1운동 10주년과 연계한 104개의 핵심 추진사업을 확정했지만 제주 차원의 사업은 없는 상황이다.

지자체별로 지난해 이미 3·1운동·임정 100주년 기념사업회를 구성하고 시민서포터즈를 운영하거나 도민제안을 통한 사업을 발굴한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제주보훈청 등이 파악한 내용을 보면 만세운동이 벌어진 3월 1일부터 임시정부가 수립된 4월 11일까지 전국 지자체 100곳을 연결해 독립의 횃불을 릴레이로 봉송하는 행사에 참여하는 것 외에는 기존 진행 사업의 연장 수준에 머물고 있다.

3·1조천만세운동, 법정사항일운동, 해녀항일운동 기념행사의 경우 민간 차원의 사업회에서 진행한다. 제주도가 행사에 참여하는 조천만세운동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행사 예산을 지원하는 수준에서 참여한다.

지역 출신 유공자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의 가치를 재조명한다거나 이를 평화교류사업의 단초로 활용하는 등의 구상도 전무하다. 포스트 '제주4·3 70주년'과 연계한 사업도 없는 등 역사적 가치를 활용하는데 뒤쳐지는 모습을 보였다.

원희룡 도지사도 신년사에서 "국가의 범국민적인 기념사업과 연계해 제주 차원에서도 도민의 뜻을 모아 미래 100년의 희망을 설계해야 한다"는 원론적 내용만 제시하는 등 뚜렷한 사업 방향을 내놓지 못했다.

지난 2015년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전국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렸지만 제주도는 자체 사업을 기획하지 못하는 등 아쉬움을 샀었다. 당시와 마찬가지로 정부 주도 사업을 활용할 전담 팀이나 민간 차원의 움직임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했다.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회 관계자는 "이미 지난해 4월부터 각 시도에 세대?계층?이념을 초월하고 지자체, 시민사회, 청소년, 청년 등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념사업 발굴을 요청했다"며 "'통합'을 화두로 한 다양한 제안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