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제주지사ESS 화재 등 지난해만 16건
2020년까지 공공기관 등 의무 설치 '고민'

지난 22일 오후 5시 30분께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한 태양광 발전설비 ESS에서 불이 나 119 대원들이 불을 끄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신재생에너지 사업과 밀접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사고가 잇따르며 보급 확대 정책의 방향성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ESS는 풍력·태양광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나 값싼 심야 전기를 배터리처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설치가 늘고 있다. 제주는 스마트그리드 등과 연계해 풍력발전기와 전기차 충전기를 연계하는 ESS 상용화 구상을 세워놓고 있다.

하지만 잇딴 태양광 발전설비 ESS 화재로 가동중단 권고가 내려졌다. 이달 말까지 정부차원에서 정밀점검을 진행하는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화재 원인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에는 현재 태양광 ESS 25곳(용량 41MW)과 풍력 ESS 6곳(43MW)이 설치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유사시설이나 ESS 의무설치 대상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난다.

정부는 2017년부터 계약전력 1000kW이상의 공공기관에 대해 계약전력 5%이상 규모의 ESS를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했다. 정부 시책에 맞춰 전국적으로 병원이나 대학교 등 다중이용시설에도 설치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2017년 8월 첫 공식집계 이후 현재까지 모두 17개 ESS에서 화재 또는 폭발 사고가 났다. 지난해 9월 공공기관 의무설치 대상인 한국전력 제주지사 ESS에서 화재가 나 1억원 이상의 재산피해를 냈던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사고는 안전점검 이후 발생하는 등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ESS는 열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항온·항습시설을 반드시 갖춰야 하고 20~25도를 유지해 줘야 한다. 대부분 시설이 지하나 내부 기계실에 설치하고 있는 등 관리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정부에서 보급에 치중하며 관리 지침을 제대로 만들지 못했다"며 "점검 후 불합격 판정을 받으면 사용을 중단하도록 조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