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훈 제주대학교 명예교수 세계섬학회장

지난 2002년 4월 제2회 제주4·3과 세계평화컨퍼런스를 개최할 때 필자는 요한 갈퉁 교수에게 기조연설을 부탁했다. 그런데 요한 갈퉁 교수가 오히려 질문을 보내왔다. 

요한 갈퉁 교수는 "한국전쟁에 대한 관심의 초점이 움직이고 있다. '한국에 의한 한국인의 학살에서 미국에 의한 학살로, 6·25 한국 전쟁의 실상에서 전·후의 학살로' 이러한 초점들은 상호 연관돼 있다. 그렇다면 다음의 초점은 무엇이겠냐"고 물었다. 

필자는 "남·북한 그리고 제주도를 국가로 하는 3개국 통일 연합을 이루면서 평화 추구의 전통을 세워 나가야 한다. 스위스나 코스타리카 모델을 따르되 금강산 관광보다는 서로에게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평화기구를 가능케 하는 평화산업의 근간을 만들고, 남·북한은 공히 비무장지대를 공동으로 친환경적으로 최소한 개발해 서로 평화추구의 전통을 세워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답변했다.(고창훈. 2018. 섬으로부터의 편지, 디자인 누리.  200-201쪽.)

지난 2017년이 지난 지금 비무장지대의 공동개발은 시작된다. 하지만 제주 4·3과 세계 평화 추구의 '세계 평화의 섬'은 지난 2005년 1월 정부가 선언했지만 정책은 빈약하다. 

지난 2006년 노무현 대통령은 대양해군의 기지의 필요성을 역설하며 해군기지의 건설에 손을 들어 줬다. 

지난 2007년 강정마을회는 찬성하는 소수의 마을 사람들만 모인 비합법적 회의에서  강정해군기지의 건설을 지지 결정했다. 그 후 10년간 강정주민들은 해군기지 반대운동에 전념했고 마을은 둘로 갈라져 갈등이 여전하다. 

강정마을회(회장 강희봉)는 지난 2018년 7월 31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제관함식 행사에 참석해 제주해군기지 건설로 인해 공동체가 파괴되는 아픔을 겪은 마을에 공식으로 사과해야 한다. 이번의 주민투표가 '대통령의 유감표명과 그에 따른 공동체 회복 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전제로 이뤄진 만큼 대통령이 관함식에 참석해 강정마을 주민이 받아들일 수 있는 공식 사과를 정중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어 "2007년 당시 해군기지 입지선정 과정에서 절차적 민주주의를 파괴한 제주도 당국의 의견에 부응해 일방적으로 해군기지를 추진한 정부의 잘못에 대해 진솔하게 공개 사과해 달라"며 "막연한 유감 표명이 아닌 구체적인 내용을 토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지난 2018년 10월 국제관함식은 강정마을의 갈등 문제는 남겨둔 채 일본의 욱일기 게양 함점의 입항문제가 큰 논란이 돼 불참한 가운데 치뤄졌다. 

제주대 세계환경과 섬연구소는 제주포럼의 6자회담국 플러스 제주 평화의 섬에서 강정마을의 갈등치유를 논의했다. 

일본 입명관대 나카토 교수는 제주 4·3과 강정평화와 오끼나와의 지역 평화개념을 거창한 미일 안보개념 보다는 지역주민들의 행복에 중심에 두는 6자회담국 플러스 세계 평화섬 포럼의 시작으로 정책 전환을 제안했다. 

파리 어메리칸대 예이츠 교수는 제주 4·3과 평화 통일의 의의에서 남·북 협력의 아시아 평화항 정책 비전을 실천함으로써 강대국 간의 화해 모색의 평화섬 포럼을 지지했다. 

러시아 언론인 코스로프는  한국과 제주가 원산과 블라디보스톡 항구를 잇는 평화 크루즈의 운항을 시작하면 500만 러시아 한인도 지지도 얻고, 훗날 후꾸오카-상해로도 확장해 나가는 평화 산업의 실크로드를 열 수 있다. 제주도 5+1 정책에 평화 크루즈가 포함돼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실행할 시기다. 미국과 일본도 평화 크루즈 운항하고, 한국도 여름에 평화와 환경 크루즈를 제한적으로 운영한다. 네델란드처럼 제주 지역과 함께 민간기구들이 크루즈의 해양 관광의 시대로의 진입을 위해 '세계 평화섬 포럼'을 브랜드화해 남·북 협력에도 기여하고 홍콩과 같이 1국가 2체제로서의 제주도 위상정립의 비전도 세워 나가는 전략을 실천할 때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