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인구 지속 증가 일자리 시장 잠식 등 영향 커져
서귀포시 노령화지수 134.9…잠재성장률 등 하락 전망
고성장 배경 '인구 유입' "청년층 지역 정착 등 고려"

제주 노동시장 고령화에 대한 대응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문이다.

주요 사회지표는 물론 사회현상 연구 기관들이 올 전망 자료에서 '고령화'로 인한 제주의 생산성과 잠재성장률 하락을 경고했다. 단순한 노령 인구 증가 외에도 노동력 질 저하로 노동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제주 노인 인구는 9만6207명으로 전체 인구의 14.42%를 차지한다. 고령화율(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도 14.2%로 전남(21.5%·초고령사회 진입)·경북(19.1%)·전북(18.9%)·강원(18.1%)·충남(17.2%)·부산( 16.3%)·충북(15.8%)·경남(14.9%)·대구(14.0%) 등과 더불어 고령사회로 분류됐다.

경제 활동이 가능한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노인부양비)은 20.3명으로 전국 평균(19.6명)을 웃돈다.

노령화지수(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인구 비율)가 94.8로 전년 92.9과 비교해 1.8 증가했다. 행정시별로 제주시가 85.9로 전년 81.6에서 4.3 높아졌고, 서귀포시는 134.9로 전년 127.7보다 7.2 상승했다.

산업연구원의 '초고성장·초고령지역의 유형별 성장 특성과 시사점'보고서에서 제주시는 고성장·비고령 지역으로, 서귀포시는 고성장·고령 지역으로 평가됐다. 제주는 산업구조상 관광 등 서비스업 의존도가 높아 고령화에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했지만 지역별 편차를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제주의 '고성장'배경으로 인구 유입을 지목했다. 인구의 사회적 증가 속도가 유소년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는 변화를 일시 소강 시켰지만 노동력 고령화가 현실 문제로 부상했다.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제주 고령화지수(55세 이상 고령노동자 대비 15~29세 청년노동자 비율)는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5년 86.3이던 고령화지수는 2016년 81.6. 2017년 80.4로 떨어진데 이어 지난해 78.4로 내려갔다. 고령 노동공급 증가가 청년층 노동력 감소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걸쳐 생산성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우려를 샀다.

보고서는 "지역이 전략산업을 육성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려면 우선 청년층이 지역 내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우선해야 한다"며 "지역별 고령화율 편차 해소를 위해 노동시장, 주택시장과 산업구조 등 경제부문별 영향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