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립예술단 개편

18일 활성화 용역 중간보고…통합 사무국·전문성 강화·보수체계 정비
인력·인프라 확충 예산 투자 필요…30%대 객석점유율 개선 수반돼야

18일 제주도청 2청사 자유실에서 '제주특별자치도립예술단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용역' 중간보고회가 열리고 있다. 김봉철 기자

제주도립교향악단·무용단·제주합창단·서귀포합창단·서귀포관악단 등 5개 제주도립예술단의 '실질적 도립화'가 추진되고 있지만 과제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부터 제주도 문화예술분야 예산 3% 시대를 맞았고, 도민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 공연장을 찾은 관객 숫자는 처참한 수준이고, 각 예술단들은 연습공간부터 보수·수당, 공연비 등 열악한 사정을 호소하고 있다. 제주도가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간 '제주도립예술단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용역'을 실시하고 18일 도청 2청사에서 중간보고회를 개최하면서 이같은 상황을 타개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 문화·구조·기능 측면 문제 다양

이번 연구용역을 맡은 ㈔문화다움(대표 추미경)은 이날 중간보고를 통해 2008년 도립예술단 통합 이후 '실질적 도립화'로 가기 위한 통합비전을 수립하고 예술단의 위상과 역할,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추진방향과 전략과제를 제안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먼저 현재 도립예술단의 현황을 문화적 측면으로 분석한 결과 5개 예술단의 통합비전 없이 제주예술단·도립무용단·서귀포예술단 등 3개 기관에 따라 개별적으로 비전이 설정됐다.

도민의 37.8%가 문화예술에 관심이 있고 문화활동 관람횟수도 증가 추세지만 지난해 공연·전시관람은 각각 0.56회, 0.48회로 영화관람 3.20회보다 크게 떨어졌다. 도민들은 문화환경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전시·공연·행사 등 문화 콘텐츠(38.2%), 문화시설 확충(21.1%), 접근성 개선(15.4%) 등을 꼽았다.

구조적 측면에서도 각 단체를 운영·관리하는 기관이 다르고, 서귀포예술단과 도립무용단은 사무국 인원이 1명으로 매우 부족했다. 지난해 예산 135억원을 집행하면서 운영비(4억1200만원)와 공연비(7억4300만원)는 무용단 16.8% 외에 모두 3% 미만에 불과했다.

무용단과 다른 예술단간 상이한 보수체계와 최소 수준인 수당, 명예퇴직제도 부재 등도 문제가 되는 상황이다.

기능적 측면으로도 지난해 도립무용단(54.1%)을 제외한 4개 예술단의 객석점유율이 30% 정도에 불과해 홍보 강화와 예술단 연계 등 관객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수반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공연 실행을 전담할 전용극장이 지정되지 않아 전문 상설공연도 어렵고, 심지어 제주합창단과 서귀포관악단은 공연장이 아닌 시설에서 연습하고 있다.

# 도 직속 통합사무국 등 제안

18일 제주도청 2청사 자유실에서 '제주특별자치도립예술단 활성화 및 중장기 발전방안 연구용역' 중간보고회가 열리고 있다. 김봉철 기자

연구진은 이같은 한계를 해소하기 위해 △도립예술단 통합 비전체계 수립 및 공유 △예술단간, 예술단-행정간 소통체계 구축 △사무국 전문인력 확충 및 운영 전문성 강화 △예술단 장르특성 반영한 연습·공연공간 마련 △도립예술단 위상에 부합하는 제도 재정비 △제주고유공연 레퍼토리 개발위원회 구성 등을 제시했다.

제주도 직속으로 5개 예술단을 총괄하는 통합사무국을 구축하고 예술단별로 별도 사무국을 둬서 운영 권한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기존 사무국 직원들은 도 소속으로 편입하고, 예술단별 사무국 인원을 확충하는 방안이다.

보수·수당은 모든 단체가 동일한 기준으로 호봉제를 적용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등급체계 조정, 새로운 수당 신설도 포함시켰다.

불만이 많았던 평정제도에 대해서는 징계·해촉의 수단이 아닌 전문성 향상이라는 취지에 맞도록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결과에 따른 수당·직책단원 추천 등 인센티브 제공을 강조했다.

또 지휘자·안무자의 장기 연임이 정체화를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이들의 임기를 2년 또는 3년 단위로 1인 최장 6년으로 설정한 타 지역 사례를 들었다. 예술단원 명예퇴직제 및 명퇴수당 도입으로 조직을 활성화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연구진은 이같은 방안을 기초로 4개월간 진단·분석한 뒤 1년간 구체적인 실행전략 수립 및 적용, 이후 1년간 평가·개선하는 내용의 추진 로드맵을 제시했다.

이날 참석한 문화예술 관계자들도 지휘자·안무자 계약직 전환을 통한 근로조건 절충, 운영비·공연비 현실화, 행정의 연속성 유지, 평정 기간 2~3년 단위로 완화 등을 주문했다.

이번 용역은 이날 중간보고 이후 전문가 자문회의 등 의견수렴을 거쳐 2월 중순께 최종보고가 이뤄질 예정이다. 도는 이를 바탕으로 이르면 3월부터 조례 개정에 나선다.

하지만 예술단 처우개선과 사무국 인력 확충, 인프라 개선 등에 막대한 예산 소요가 불가피한 상황에서 실제 정책 수립과 집행까지 과정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공연예술이 높아진 관객 눈높이에 도달했는지, 홍보노력 등 부족한 점은 없었는지 자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조상범 도 문화체육대외협력국장은 "각 예술단의 요구사항이 반영됐고 중장기 방향까지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최종보고 이후 실현 가능성과 타당성 등을 다시 검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끝> 김봉철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