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철 편집부 차장

입춘(立春, 양력 2월 4일경)은 24절기중 첫 절기로, 전통적으로는 이날이 새해의 시작이다.

특히 탐라국 시대부터 이어져온 제주 입춘굿은 제주도 전체를 공간으로 신들과 인간이 어우러지는 축제로 가치가 매우 크다.

도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문전멩질' '새철 드는 날' '새잇절 드는 날'로도 불리며, 신구간(新舊間) 때 하늘로 올라갔던 1만8000신이 다시 지상으로 내려와 새해의 일들을 시작하는 때이기도 하다.

입춘이면 제주 사람들은 한 해 농사를 준비하며 복을 기원하는 다양한 제례에 참여했다.

24절기가 농사와 관련이 깊은 만큼 제주목관아에서는 첫 절기인 입춘 때 관과 민이 합동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입춘굿, 곧 춘경(春耕)을 벌였다는 기록도 전해진다.

이원조 제주목사가 쓴 「탐라록(耽羅錄)」(1841년)에는 "춘경(春耕) 또는 입춘춘경(立春春耕)이라 불리는 입춘굿의 풍속은 고대 탐라시대 왕이 몸소 밭갈이하는 모습을 흉내낸 것으로, 나무로 만든 소가 끄는 쟁기를 잡고 가면 양쪽 좌우에 어린 기생이 부채를 흔들며 따르게 된다"고 설명한다.

요즘은 의미가 희미해졌지만 입춘 때 해서는 안되는 금기도 다양했다.

여자가 남의 집에 가면 밭에 잡초가 무성해진다는 믿음에 여자들의 바깥출입을 금기시했고, 입춘 때 돈거래를 하면 그 해는 재물이 밖으로 나간다고 돈거래도 피했다.

집안 청소를 할 때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빗질하면 복이 나간다고 바깥에서 안쪽으로 쓸었다. 이외에도 털짐승을 집안으로 들이지 않거나 이날 영장이 나면 잘 산다는 믿음도 있었다.

입춘굿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맥이 끊겼지만 1996년부터 '탐라국입춘굿놀이'란 명칭으로 다시 계승되고 있다.

올해 입춘굿은 세대별·마을별 도심형공동체 등 단체들이 제주 문화를 소재로 다양한 작품 창작과 퍼레이드·공연에 동참하는 등 참여형 축제로 변화를 꾀해 눈길을 모은다. 탐라국 시절 모든 마을이 참여하던 입춘굿의 원형을 살려 마을거리굿도 부활시켰다.

이번 탐라국입춘굿에서는 입춘천냥국수와 향토음식, 주전부리를 맛보며 소원을 빌고, 어느 해보다 다채로운 퍼레이드와 공연을 즐길 수 있어 많은 참여로 입춘굿의 의미를 되살리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