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농연 국민의식 조사 은퇴후 의향 31.3% 감소 추세
"제주서 농사짓겠다"↓·지원 정책 보완·재구성 등 주문

'농촌·농업'을 중심으로 한 인구 유입 정책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지원 위주에서 벗어나 은퇴·재기 목적과 생업·지역정서 간 격차를 좁힐 수 있는 방안 등을 보완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1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도시민의 31.3%는 은퇴 후 귀농·귀촌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2017년 37.7%에 비해 6.4%p 감소했다. 구체적인 구체적 계획은 없다는 응답이 50.2%나 됐지만 앞선 조사 57.9%보다는 낮아졌다.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4)의 귀농·귀촌 희망은 다시 증가 추세다. 47%가 귀농 또는 귀촌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던 2015년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2016년 41.3%로 주춤하던 분위기가 지난해 44.1%로 반등했다.

귀농·귀촌이 공동화 현상을 겪고 있는 농어촌 마을의 인구 증가와 활력 유지에 도움(도시민 71%·농업인 42.8%)이 된다는 반응이 많았다.

하지만 귀농 보다는 귀촌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한데다 지역갈등 등 부정적 반응도 거세지는 등 지원 정책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5년치 자료를 살펴보면 제주 귀농인구는 2013년 448명·2014년 524명·2015년 656명·2016년 770명으로 꾸준히 늘다가 2017년 572명으로 줄었다. 귀촌 인구는 매년 앞자리 숫자를 바꿀 만큼 증가세를 유지했다. 2015년만 7147명, 2016년 8391명, 2017년 9473명 등 '1만명'을 눈  앞에 뒀다.

연령대별로 귀농은 70대 이상만 늘었고, 귀촌은 60대만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수치만 놓고 보면 인구 유입에 따른 경쟁력 강화 기대감이 높아야 하지만 현실을 달랐다.

농업인을 중심으로 기존 주민 갈등(26.5%)과 소통 부족에 따른 위화감 조성(21.6%), 불필요한 민원 증가(21.3%) 등 부정적 의견이 나왔다.

귀농·귀촌인 지원 정책 확대에 대해 도시민의 60.6%가 찬성한데 반해농업인은 43.6%만 동의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특히 정부의 귀농·귀촌 지원 정책 10년차인데다 경기둔화·실업 증가 등 기존과 다른 목적의 귀농·귀촌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응책 마련이 주문됐다. 고미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