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포스트평창 내건 관광청 추진, 울산 전국 14번째 전담기구 조직 시도
제주 수년째 기능 강화 논의만, 지역관광 거점 등 정부 주도 사업 뒷전 한계

제주도가 연초부터 ‘제주 관광’회복을 내건 전방위 전략을 내놨지만 지자체간 치열한 물밑 경쟁에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자체들이 경기 둔화 극복은 물론이고 지역 기간산업 붕괴에 따른 회복·대안 전략으로 ‘관광’을 앞세우고 있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이미 지난해부터 지역균형발전과 연계해 주요 관광정책에서 서울과 제주를 후순위에 두고 있는 등 파장이 우려되고 있다.

12일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강원도는 올 초 2020년 출범 목표의 관광청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평창올림픽 후 MICE와 크루즈, 통합마케팅 등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끌어 나갈 통합 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전제로 깔았다. 기능, 운영방법, 조직 등에 대한 자체 검토를 마친 상태로 기본 용역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 산업 쇠퇴로 위기를 겪고 있는 울산도 11일 지역 관광산업과 마케팅을 총괄할 '울산형 관광전담기관' 설립을 위해 설립방안과 타당성 분석 연구용역을 입찰 공고를 냈다.

관광전담기관은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울산, 세종, 충남, 충북을 제외한 13개 광역자치단체에서 공사와 재단 등의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관광청 논의는 제주가 먼저 했다. 지난해 제주관광공사 출범 10주년에 맞춰 진행한 ‘중장기 경영전력 수립과 컨설팅’에서 용역팀은 기존 기관과 업무 중복 등 거점 역할이 미흡하다는 지적과 함께 ‘관광청’검토를 주문했다. 관광공사 기능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거론 된 것도 수년이 넘는다.

지난해 정부 차원에서 추진한 지역관광 거점 조성 사업이나 해양 관광 강국 구상에서도 제주는 뒷전으로 밀렸다.

외국인 관광객 동선 분산 등의 이유를 들었지만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마리나·웰니스·의료관광 클러스터에 제주가 빠진데다 국가거점형 마리나 항만 지정에서도 밀리는 등 체류형 고부가가치 관광 상품 구성에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관광 체질개선을 한다고 하지만 현상 유지도 힘들다는 게 업계 중론”이라며 “접근성이나 특화 전략까지 갈수록 관광하기 힘들어질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