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증가와 각종 개발사업 등 지하수 오염원이 늘고 기후변화 등 수자원 환경 변화 요인이 가중되면서 제주의 생명수인 지하수 수질이 악화할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제주도가 제주연구원과 연세대학교에 의뢰한 '지하수 수질 개선 및 오염방지 방안 연구'에서도 이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제주도가 12일 도청에서 개최한 연구 용역(3차년도) 중간보고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서귀포시 대정읍은 전체 712개 관정 중 질산성질소가 먹는물 수질기준치인 10㎎/ℓ를 초과한 공수가 282개(39.6%)로 평균 11.1㎎/ℓ를 기록했다. 

또 한경면은 211개 중 87개(41.2%)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특히 제주 서부지역인 제주시 한경면 고산·낙천·청수리와 서귀포시 대정읍 신도리 일대 31개 농업용 관정 및 6개 심도별 관측공 중 14곳이 기준치를 초과하고 7곳은 5~10㎎/ℓ로 측정돼 총 68%에서 이미 오염됐거나 오염현상이 진행중임이 확인됐다.

이처럼 제주지역 지하수의 수질이 나빠지고 있는 것은 질소질 비료 사용량이 매년 급증하고 축산농가에서 가축분뇨를 무단 방류하는 등 지하수 보전을 위한 도민들의 인식이 낮은 때문으로 풀이된다.

음용뿐만 아니라 농업용 등 대부분의 물 이용을 지하수에 의존하는 제주지역에서 지하수가 한 번 오염되면 회복하는데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경종을 울리고 있는 셈이다.  

더욱이 질산성질소가 다량 함유된 물을 장기적으로 마실 경우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유아의 피부가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을 일으켜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화학비료 적정 시비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거나 영농 교육 때 농업·축산 경영자의 인식 전환을 위한 교육과정을 신설하는 등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