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주도의회 제공

도의회 13일 4·3 70주년 성과와 과제 토론회 박찬식 교수 실행 준비 강조 
전국 대중화 사업 지속, 미국 책임 묻기, 민·관단체 역할정립 등 과제 제시 

제주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서는 치유와 청산의 구체화 작업, 전국화 및 대중화 사업 지속추진 등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주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 운영위원장을 역임한 박찬식 충북대 교수는 13일 제주도의회 대회의실에서 도의회 4·3특별위원회 주최로 열린 '4·3 70주년 사업의 성과와 과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지난해 제주4·3 70주년을 맞아 4·3의 전국화와 대중화를 이루는 등 상당한 성과를 이뤄냈다고 밝혔다.

하지만 박 교수는 "제주4·3특별법 개정안에 담겨 있는 4·3의 치유와 정산을 위한 과제들을 실행할 구체적인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며 "사망좌와 후유장애인, 생존수형인 등에 대한 구체적인 보상기준과 방법을 논의해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큰 성과를 이룬 4·3전국화를 앞으로 계속 이어나가는 것이 큰 과제"라며 "이를 위해 여순항쟁이나 한국전행 전후 민간인학살 사건의 유족과 관련단체 등과 연대해 대한민국 전체 역사의 진실과 정의를 세우는 운동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박 교수는 "4·3사건에 대해 미국의 책임을 묻기 위한 활동의 계획과 로드맵을 세워야 한다"며 "제주도, 국회, 정부는 물론 미국의 시민사회와 의회, 유엔 인권위원회를 대상으로 왜 미국이 4·3의 책임이 있는 지 등을 알리고 이슈화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4·3평화재단 등 공공기관과 4·3연구소 등 민간단체와 4·3평화재단, 도의 관계를 잘 정립할 필요가 있다"며 "4·3평화재단은 조사·연구기획과 네트워킹을 담당할 수 있는 조직을 중심으로 민과 관을 매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제주대학교 등 지역 대학이 4·3을 필수 교양과목으로 지정하면 대학생들이 4·3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갖출 수 있다"며 "도교육청도 다음 세대가 4·3을 기억하고 그 교훈과 정신을 이을 수 있도록 교육 과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현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