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장비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어선기계화 사업실적이 시원치 않다. 정부 배정물량이 신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적체를 겪는 등 심각하다. 안전항해의 전제가 되는 어선장비에 대해 보다 높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본다. 어선기계화 사업은 낡은 장비로 인한 해양사고를 줄이려는 의도에서 출발한 까닭이다.

지난해 북제주군지역만 해도 어업인 148명이 신청했지만 실적은 23.6%에 불과했다. 올해도 신청자가 62명에 이르고 있으나 배정물량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25대 분에 머문다. 이 때문에 지원순서도 뒤로 미뤄질 수밖에 없다. 예산배정이 안되기 때문인데, 어떤 사람은 지난해 두 번을 신청했지만 모두 탈락한 경험도 있다고 한다. 대상이 영세 어업인인 점에 미뤄 낡은 장비로 운항하다가 항해 중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그만큼 높은 것이다. 아니면 수리를 마치고 정상운항 중에 물량배정을 받는 기현상이 초래될 경우도 있을 듯 싶다.

최근 들어 어선들은 어족자원을 찾아 원거리조업에 나서야 하는 실정이다. 선박기계와 장비의 성능은 안전항해의 필수요건이다. 이에 따라 어업인들도 안전조업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다. 올 1분기만 해도 북군 관내 선주협회 등이 현장도움센터를 운영한 결과 62척의 어선이 정비수리를 받았다. 대부분 안전항해와 직결된 내용에 속한다. 지난해의 수리지원 실태를 보더라도 잘 나타난다. 기관 25척, 통신장비 137척, 항해장비 47척, 스크루 그물제거 109척 등 418척에 해당하는 실적이다. 안전항해와 직결된 장비수리 내역들이다.

지원액은 어선 1척에 200만원 수준이다. 이 중 50%는 보조금이며 30%가 융자, 20%는 본인부담이다. 당장 작은 부담으로도 고장부분을 바꾸거나 수리가 가능해 안전이 보장된다. 이점만으로도 어업인들의 안전을 위해 정부가 물량을 더 확대해야 할 입장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