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첫 축구전쟁이 시작됐다. 이제부터 한달 동안 축구가 지구를 움직인다. 축구가 대통령이며, 유엔 사무총장이다. 32개국 출전팀, 736명의 엔트리 선수들의 일거수 일투족에 연인원 600억의 눈이 쏠려 있다. 그들은 월드컵 공인구 ‘피버노바’가 연출하는 각본 없는 드라마에 때로는 감동하고, 때로는 화를 낼 것이다.

31일 프랑스-세네갈 개막전을 시작으로 선수들은 저마다 조국의 명예를 건 땀방울을 그라운드에 쏟아 낸다. 이제 푸른 그라운드는 선수들의 땀과 눈물을 받아들일 것이다.

월드컵 무대는 모두에게 기회의 장이다. 그런 무대는 없다. 제주출신 태극전사 최진철은 “골을 먹지 않으면 지지 않는다는 상식을 지켜내겠다”고 했다. 황선홍은 “골잡이는 골로 말할 뿐이다”라고 했고 송종국은 “‘히딩크의 황태자’에서 ‘월드컵의 황태자’가 되고 싶다”고 했다. 나는 이들이 충분히 소원을 이룰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선수뿐 아니라 36명의 심판(주심)에게도 월드컵은 도전의 무대다. 그들은 페널티 킥을 유도하는 선수들의 유혹에 직면할 것이고 세계 축구팬들은 그들의 휘슬에 주목할 것이다.

2002 월드컵의 성공 개최에는 두 가지 축이 있다. 대회 진행은 물론, 교통·숙박·관광·안전 등 모든 면에서 손님들을 만족시켜 줘야 한다. 완벽한 잔치판을 만들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개최국으로서의 본선 성적이다. 한국축구는 지난 4년 동안 이 순간만을 기다려왔다. 월드컵 1승과 16강이다. 어떤 이는 “성적이 뭐가 그리 중요하냐”고 반문한다. 아니, 16강이라는 구호에서 파시즘의 냄새를 맡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당장 한국이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고 하자. 주인이 객이 된 잔치판. 생각만 해도 썰렁하다.

하지만 나는 이 것도 좀 불만이다. 꿈이 너무 작다. 나는 안방에서 열리는 월드컵에서 4강, 아니 우승을 목표로 해도 좋다고 생각한다. 큰 목표를 향해 뛰다 보면 작은 목표는 쉽게 이룰 수 있다.

게다가 우린 ‘거스 히딩크’라는 ‘명조련사’를 통해 고액과외까지 하지 않았는가. 최근 잉글랜드·프랑스 평가전을 통해 ‘족집게’과외의 효과를 확인했다.
한국팀의 16강 진출은 월드컵대회 성공의 토대다. 혼자 꾸는 꿈은 몽상이지만, 여럿이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 우리 그 꿈을 한껏 즐기자.<교육체육부장 대우>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