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연구원 2014년부터 모슬포에 매년 3만마리이상 방류
해당 지역 어획량 2014년 1.4t에서 지난해 13t으로 10배 늘어

최고의 식감과 맛 그리고 희귀성으로 인해 최고의 횟감으로 여려지는 제주토종어종인 다금바리(자바리)의 어획량이 급증했다.

제주해양수산연구원에 따르면 2005년 인공수정을 통한 다금바리 종자 생산기술을 보유한 이후 2014년부터 다금바리 주 서식지인 서귀포 대정읍 모슬포 해역에 방류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구원은 2014년 5만마리를 시작으로 매년 3만~5만마리를, 지난해에는 다금바리 3만마리와 또 다른 희귀어종인 붉바리 1만마리를 방류했다.

다금바리는 개체수 자체가 적어 연간 생산량이 제주 전체 어획량은 10t에도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종자는 방류효과 등으로 모슬포 해역 다금바리 어획량은 2014년 1.4t에서 2016년 6.9t, 2017년에는 13.1톤t 2018년 13t으로 4~5년 전에 비해 10배 이상 급증했다.

연구원은 모슬포 해역 방류 효과로 어획량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하지만 올해부터 자체 생산한 종자와 어획한 다금바리간 유전자 감식을 통해 같은 어종인지를 확인하는 작업을 할 예정이다.

어획량이 증가했지만 여전히 수요에 비해 공급량은 크게 부족하면서 ㎏당 20만원선으로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다금바리는 깊은 바다 돌틈에 숨어서 서식하고, 낚시줄도 이빨로 끊어버리는 등 최고로 숙련된 어부들만 잡을 수 있고, 치어생산이 가능하지만 성체까지 양식은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다금바리가 출하 수준인 1kg으로 성장하려면 3년 이상 걸려 비용이 많이 들고, 큰 치어가 작은 치어를 잡아먹는 '공식(共食)' 습성으로 폐사율도 높은 등 현재 양식기술로는 수익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