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가계대출 전국 대비 최고 수준…비은행권 의존 불안
도소매업 등 자금 융통 꾸준, 추가 금융규제 경기 침체 직격

대출 의존도가 높은 제주 가계에 '돈 가뭄'경보가 내려졌다. 경기둔화 여파로 '돈이 있어도 없는' 마른 가뭄 상황에 이어 가계발 한해(旱害)로 인한 후유증이 우려되고 있다.

19일 한국은행 제주지역본부의 '최근 제주지역 금융기관 여·수신 주요 특징과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예금 취급기관 가계 대출은 15조4000억원으로 전년 말 13억8000억원과 비교해 12.3%(1조7000억원) 늘었다.

2016년 전년 대비 38.9%나 급증했던 가계대출은 2017년 21.5%에 이어 지난해까지 앞 자리 숫자를 바꾸며 둔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전국 평균 증가율(6.1%)의 두 배 수준에 이를 만큼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이 같은 추이 보다 전체 경제 규모 대비 가계대출 비중과 전반적인 경기 둔화 상황, 일반 은행에 이은 비은행권에 대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가 우려를 샀다.

도내 가계대출은 GRDP(지역내총생산) 대비 81.3%로 2015년 (53.1%)이후 2년 새 28.2%포인트 높아졌다. 전국 평균(59.8%)보다  21.5%포인트나 높은 등 부채 의존도가 높다.

가구당 가계대출 규모도 꾸준히 늘어나며 지난해 6264만원으로 수도권 평균(6255만원)을 앞섰다. 지역별로는 서울·세종에 이어 세 번째다.

가계대출 중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비은행권 비중이 46.3%나 되는 등 상환 부담이 크다는 점은 가계 빚 시한폭탄의 뇌관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중에는 지난해 '개인사업자 대출 가이드라인'적용으로 자금난을 겪은 도소매업, 음식·숙박업, 부동산 임대업 운영 자금으로 흘러간 것으로 적잖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지난해 제주지역 기업대출은 부동산업과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11조7000억원이 풀렸다. 전년말 대비 12.5%(1조3000억원) 늘어난 규모다. 전국 증가율은 8.6%였다. 예금은행을 기준으로 부동산업 대출이 2072억원으로 가장 많이 늘었다. 도소매업(1826억원)과 음식숙박업(901억원)에서도 자금을 융통했지만 고전을 면치 못했다.

기준금리가 들썩이는데다 올 상반기중 비은행권 DSR 규제가 본격 시행되는 상황은 서민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 전망되고 있다. 특히 전국 평균(예금은행 91.1%·비은행금융기관 78.0%)을 웃도는 도내 금융기관 예대율(〃 166.0%·〃 85.9%)이 가계대출을 욱죄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은행 제주본부는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가계자금을 빌리기 힘들어 지고 상환 부담은 커지게 된다"며 "이런 금융 불균형 요인이 실물 경제를 저해하지 않도록 상시적인 리스크 분석과 점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