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어선주협의회는 8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일어업협정 협상 재개와 협상지연에 따른 지원과 어업피해 보상 등을 촉구했다. 한권 기자

일본 입어규모 3분의1 축소 요구...2016년부터 조업 못해
수백㎞ 떨어진 먼바다 조업으로 사고위험·경비 부담 가중
제주도 어선주협 기자회견 "협상 재개·어업피해 보상" 촉구

한·일어업협정이 장기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어장을 잃은 제주 어업인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제주 어민들이 '목숨 건 원거리 조업'에 내몰리며 사고위험이 높아지고 있는가 하면 어업 손실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제주도 어선주협의회와 제주도에 따르면 한일 양국은 1999년 1월 한일어업협정을 맺은 뒤 매년 상대국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갈치 등의 조업 시기와 어획량 등을 협의하고 있다.

하지만 2015년 어기 종료 후 거듭된 협상 결렬로 현재 상호 EEZ 입어가 중단된 상태다.

일본 측이 불법어업 문제를 제기하며 우리 측 연승어선에 대한 자국 내 입어 규모를 206척에서 73척으로 감축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측 EEZ에서 갈치조업을 하는 우리 측 연승어선 200여척 중 제주어선만 150여척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돼 일본 정부의 요구를 수용할 경우 제주어민의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2016년 7월부터 3년째 제주 갈치잡이 연승어선은 제주에서 가까운 일본 EEZ 대신 수백㎞ 떨어진 먼바다 조업에 나서며 사고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최근 4년간 제주어선들이 먼바다 조업에 나섰다가 사고를 당한 사례만 2016년 39척, 2017년 23척, 지난해 38척, 올해 3월말 현재 10척에 이른다.

이 사고로 1명이 숨지고 7명이 실종됐다.

실제 지난 2월 13일 서귀포시 남동쪽 383㎞ 해상에서 조업하던 서귀포선적 근해 연승어선 A호(29t·승선원 9명)가 전복돼 50대 선장이 숨졌다. 

원거리 갈치조업의 경우 900여㎞ 이상 떨어진 동중국해까지 나서면서 오가는데만 6~7일 정도 걸려 경비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 어선주협의회는 8일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간 수십 차례에 걸쳐 해양수산부와 국회를 방문, 조속한 협상과 어업 손실에 대한 적절한 보상 방안 등을 건의했지만 별다른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올해 7월 1일부터 입어할 수 있도록 협상을 추진하고 협상지연에 따른 지원과 어업피해를 보상하라"고 촉구했다. 한권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