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 정책연구실 9일 '정책차롱' 발간
미국·일본·러시아 사료 등 체계적 수집 절실

제주 4·3사건 당시 미군의 개입에 대한 명확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주도의회 정책연구실은 9일 '4·3사건 미군이 얼마나 개입했나?'라는 정보소식지 '정책차롱'을 발간했다.

이번 '정책차롱'은 '미군이 제주도를 거대한 킬링필드(killing field)로 바꾸어 놓는데 직·간접적으로 관여했다'고 언급한 미국의 사회학자 조지 카치아피카(George Katsiaficas)의 말을 인용하면서 제주 4·3 당시 미군 측의 개입에 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4·3 당시 제주도에서 미군의 개입 사례의 유형을 △주한 미군사령관과 고문관들이 한국경찰과 경비대(대한민국육군 전신)에게 직접 명령을 하달 △제주의 미군 고문단들이 실제 공중과 육상작전을 관리 및 감독 △제주도에 주둔한 미군 부대가 우리 측 진압군에게 군수지원 및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강경진압을 지휘했다고 분석했다.

또 4·3 당시 제주도에 미군 주둔 병력에 관한 논란이 있지만 프랑스 파리 7대학의 버트랜드 로에너(Bertrand M. Roehner)교수의 논문과 당시 미군 측의 비밀문건 '주한미군사'사료 (HUSAFIK), 미군증언 등을 토대로 1947년과 1948년에 제주도에는 미군이 최소 100명(중대규모)에서 최대 1000명(연대규모)까지 주둔한 사실이 추정된다고 밝혔다.

정책연구실은 현재까지 밝혀진 미군의 지휘책임과 함께 특별히 미군병력이 어느 정도의 규모로 제주도에 주둔하였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미국의 개입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또 다른 척도가 되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민구 4·3특별위원장은 "오는 6월 UN에서 개최되는 'UN 4·3 심포지엄'을 계기로 향후 미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러시아에 있는 다양한 역사적 사료들에 대한 체계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 제주 4·3 당시 미군의 개입정도를 명확히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지석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