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1500만명에 육박하는 국내외 관광객이 몰려드는 제주는 하수를 처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내 하수처리장 대부분이 지어진지 오래 되고 수용능력마저 거의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많은 비가 내릴 때면 수질기준을 초과한 하수를 그대로 바다로 방류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시 소재 제주(도두)·동부·서부하수처리장과 서귀포지역 보목·색달·대정·남원·성산하수처리장 8개 하수처리장의 시설용량은 하루 24만t에 하루평균 하수처리율은 91.49%에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2017년 증설사업을 완료한 성산하수처리장만 하수처리율 54.7%로 여유가 있을뿐 전체 시설용량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제주하수처리장이 99.89%에 달하고 서부하수처리장 역시 99.34%로 사실상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이밖에 색달과 대정도 각각 95.81%, 94.06%로 거의 포화상태나 마찬가지다.

이처럼 상당수 하수처리장의 처리능력이 한계치나 다름없는 상태에 몰리면서 많은 비가 내리면 미처 처리하지 못해 수질기준을 넘긴 하수가 바다로 방류돼 악취를 풍기고 공동어장에 피해도 주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가 2025년까지 총사업비 7167억원을 들여 8곳의 총 시설용량을 42만8000t으로 늘리는 사업을 추진중이지만 일부 처리장은 주민반발로 증설사업이 중단되는 등 차질을 빚고 있다.

특히 3337억원이 투입될 예정인 제주하수처리장의 경우 처리시설 증설을 위한 954억원만 국비로 지원되고 시설지하화나 지상공원 조성 등을 위한 사업비는 국비 지원에서 제외돼 정상적인 추진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제주도는 제주하수처리장을 비롯한 도내 하수처리장의 원활한 증설을 위해 국비 확보에 더욱 진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