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고령화에 저출산·리턴 현상까지 '핵심노동인구 공동화' 현실로
전체 읍면동 41.86% 초고령사회…경제활동인구 감소 저항 우려

빨라지는 고령화 속도와 저출산·리턴 현상이 겹치며 제주경제 허리 부실 우려를 키우고 있다.

내년만 8356명이 경제활동인구에서 빠져나간다. 불확실성을 고민하던 20대 유출은 물론이고 40·50대의 고용시장 이탈까지 핵심노동인구(20~54세) 공동화로 인한 악순환 고리가 제주 경제의 악재로 부상했다.

20일 통계청과 제주도 등에 따르면 올 4월 기준 제주도내 65세 인구는 9만7194명으로 전체 인구(66만8648명)의 14.54%를 차지했다. 이중 80세 이상이 26.4%(2만5641명)으로 파악됐다.

제주도는 지난해 12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읍면동별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지역만 18곳(41.86%)나 된다. 추자면이 33.1%로 65세 인구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경면이 26.5%로 뒤를 이었고 구좌읍 24.2%, 일도1동 23.5%, 우도면 23.3% 등이 상위권을 형성했다.

동 지역 중에서는 서귀포시만 7곳(영천동 22.3%·송산동 22.1%·효돈동 21.9%·중앙동 21.1%·정방동20.8%·천지동 20.7%·예래동 20.4%)이 상대적으로 고령인구 비중이 높았다. 제주시권에서는 일도1동 외에는 초고령사회 진입 지역이 없었지만 건입동(18.8%)과 용담1동(18.8%)이 상위에 오르는 등 원도심에 집중됐다.

제주의 베이비부머 세대(56~64세) 인구는 8만6460명으로 내년부터 은퇴 러시를 시작해 매년 8000명 이상이 경제활동인구에서 빠져나갈 것으로 추산됐다. 은퇴 규모도 계속해 커진다. 현재 인구 조사 기준으로 2025년부터 4년 간 한해 1만 명 이상이 고용시장 중심에서 벗어날 것으로 집계됐다.

2013년 이후 지난해까지 제주지역 분만 건수가 14.1% 줄어드는 등 출산율 하락 추세와 최근 심화한 20대 유출, 제주 순유입인구 증가세를 주도했던 30·40대 리턴, 40·50대 불안정 고용 상황 등을 감안하면 노동유연성 경화가 제주 경제 회생의 최대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지난해만 20~54세 6437명이 순유출 대열에 섰다. 올 1분기 제주지역 청년의 경제활동참가율은 48.0%로 1년 전 49.4%에 못 미쳤다. 같은 기간 20대만 2797명 제주를 떠났다. 2014년 전체 취업자의 31.3%였던 40대가 지난해 28.1%까지 줄었다.

이런 상황은 노년부양비 등 사회적 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제주의 노년부양비(생산가능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는 지난해 20.3명(전국 평균 19.6명)으로 전국 대비 노령 사회 유지 부담이 컸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