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즈 홈페이지에 기재된 'Memories of Massacres Were Long Suppressed Here. Tourists Now Retrace the Atrocities(오랜 시간 억압된 대학살 현장의 기억. 잔학 행위의 자취를 따라가는 여행객들)' 기사 화면 캡쳐.

뉴욕타임즈 5월 29일자 신문 10면, 4·3다크투어 소개
당시 '좌파'로 몰려 죽임당해야 했던 제주도민과 항쟁 소개도

작지만 아름다운 자연으로 휴식을 선물하는 제주도에 서려있는 깊은 아픔을 미국의 언론매체 뉴욕타임즈가 조명했다.

뉴욕타임즈는 지난 29일 'Memories of Massacres Were Long Suppressed Here. Tourists Now Retrace the Atrocities(오랜 시간 억압된 대학살 현장의 기억. 잔학 행위의 자취를 따라가는 여행객들)'라는 제목으로 제주 다크투어를 통해 지금도 '완전 해결' 되지 못한 4·3을 소개했다.

뉴욕타임즈는 "4·3학살이 일어났던 당시 제주도는 반공주의자들의 사냥터이자 인간도살장이었다"고 표현했다. 4·3평화공원에 조성된 실종자 묘지가 2891개나 된다며 확인된 희생자뿐 아니라 찾지 못한 희생자들도 많다는 걸 4·3다크투어를 통해 소개했다.

당시 친척을 잃은 북촌 출신 이상은씨(56)가 "시체를 처리하기 쉬운 곶, 폭포, 모래사장 등을 처형장소로 정해 도민들을 죽였다"는 증언을 통해 당시 학살이 계획적이었음을 소개했다.

당시 제주인구 10분의 1인 3만여 명이 학살됐지만 공식적 조사가 필요한 법이 발효된 것은 2000년이었다. 반세기 가량 희생유가족과 피해자들은 누구 하나 "학살당했다"고 말하지 못했다.

4·3 피해자들은 '폭도' '공산주의자'로 불렸기 때문이다. 피해를 말하면 '빨갱이'가 됐고 연좌제로 인해 자식들이 피해를 보던 시대였다. 2006년에서야 정부에서 '공산주의와 싸운다는 이름으로 무고한 섬 주민들을 무차별 살해한 것'에 대해 공식사과했다. 하지만 '인간도살장'에서 살아남았거나 죽었다는 것을 피해자와 희생자 본인이 증명해야 보상이 이뤄지고 아직도 4·3을 제주도민의 폭동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어 4·3은 지금도 진행형이다. 

4·3 당시 증조부가 정부군에 의해 살해당한 김명지씨(27)는 "할아버지가 왜 죽어야했는가"라며 가족의 역사를 숨기지 않았다. "제주4·3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싶다"는 김씨의 외침이 마음에 닿은 듯 다크투어에 참가한 관광객 이항란씨(32)는 "제주도는 이제 더 이상 내가 아는 여행지가 아니"라며 4·3의 아픔과 슬픔에 공감했다.

원문은 뉴욕타임즈 홈페이지(https://www.nytimes.com/2019/05/28/world/asia/south-korea-jeju-massacres.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우종희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