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두성 논설위원실장

제주도내 관광지와 유원지 개발사업이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제주도에 따르면 도내에는 개발사업이 추진중인 관광(단)지 24곳과 유원지 21곳 등 45곳 가운데 관광(단)지 4곳, 유원지 8곳이 올해 말 사업기간 만료를 앞두고 있다. 

또 봉개·수망·묘산봉·풀로승마·한라힐링·핀크스·열해당·여성테마파트·동물테마파크 등 관광(단)지 9곳 및 유원지인 성산포해양관광단지 1곳 등 총 10곳은 사업추진 미진사업장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동안 몇 차례의 사업기간 연장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사업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는 사업장이 많은 것은 2016년 7월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결정 공식 발표를 전후해 중국이 단체관광객 방한을 금지시키고 해외투자마저 제한, 지역경기가 전체적으로 침체된 때문으로 풀이된다. 여기에다 2014년 원희룡 지사가 취임한 이후 각종 규제를 강화, 결과적으로 외국 자본이 제주에서 고개를 돌리게 한 것도 한 원인으로 보인다. 

오죽했으면 3년 전 "제주도민 상당수가 대규모 복합리조트 설립에 따른 난개발과 정체성 약화를 우려한다면 허가를 안하면 될 것"이라는 원 지사의 발언에 대해 오라관광단지 대표가 "도민이 지지하면 언제든지 사업을 중단시키겠다는 것이냐, 그러면 사업자는 봉이냐"고 들이받기까지 했을까.  

이후에도 오라관광단지 개발사업은 분양수입을 제외한 총사업비의 10% 3373억원을 2019년 6월 말까지 제주도가 지정하는 계좌에 입금하라는 자본검증이라는 새로운 그물에 걸려 허우적거리고 있는 중이다.

이처럼 도내 최대 규모의 오라관광단지를 비롯한 상당수 개발사업이 지체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뉴오션타운 조성사업이 마을주민간, 환경단체간 핑퐁식 성명전으로 새삼 눈길을 끌고 있다.

뉴오션타운은 중국자본이 설립한 신해원유한회사가 서귀포시 대정읍 상모리 168번지 일원 19만1950㎡에 3200억원을 투입, 호텔·조각공원·야외공연장·상업시설 등을 지을 계획으로 추진중인 사업이다.

사업자가 2013년 7월 사업부지를 매수, 같은 해 12월 환경영향평가서(초안) 주민공람 및 주민설명회를 가진데 이어 경관영향평가는 4차례, 교통영향평가는 3차례 심의위원회 심의를 받은 끝에 조건부 통과됐다. 또 환경영향평가는지난 1월 심의위원회에서 5수만에 조건부 동의를 받았다. 

이같이 6년동안 각종 재심의를 통한 보완요구에 따라 당초 호텔 8층 1000실, 빌라 2층 20세대, 콘도 4층 264세대 시설 계획 중 현재 남아 있는 것은 호텔 6층 339실·4층 122실뿐이다. 공사 중간에 계약금이나 중도금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빌라와 콘도는 모두 사라지고 몇 십년이 지나야 투자금을 회수할지도 모를 호텔만 남아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설사 환경영향평가 동의안이 도의회 동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제주도 허가를 받더라도 사업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송악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지난 3월 "중국자본에 의해 송악산이 개발되면 경관 사유화가 될 것"이라며 대정읍 주민 1096명의 반대서명을 도의회에 제출했다.

이에 대해 한 달 뒤 '대정읍 상모마을발전위원회'가 뉴오션타운 조성사업은 오랜 주민숙원사업이라며 조속한 추진을 촉구하는 지역주민 2800여명의 서명부를 도의회에 제출하자 '송악산개발반대대책위원회'는 곧장 1만인 서명 기자회견으로 맞섰다. 

결국 중국자본과 개발에 대한 행정당국과 환경단체의 거부감 또는 마을주민간 이견 등으로 세월이 흐르는 동안 개발이 가능하다는 행정의 말만 믿고 사업부지를 매수, 용역비와 운영비 등을 포함해 지금까지 7년간 300억원을 쏟아부었다는 사업자측은 그래도 감히 불평불만조차 털어놓지 못한 채 속만 끓이고 있다. 오라관광단지와 신해원뿐만도 아니다. 자칭타칭 '봉'은 도처에 널려 있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