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수돗물의 유수율은 45.4%다. 85%대인 전국평균과 비교하면 절반을 조금 넘는 수치에 그친다. 유수율은 정수장에서 생산된 물이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계량기까지 이르는 비율을 말한다. 유수율 45.5%는 100톤의 물을 생산한다면 45.5톤만 도민들에게 전달된다는 뜻이다. 절반 가량은 땅 속으로 새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아까운 수돗물이 줄줄 새는데도 제주도의 대책은 한숨이 나올 정도다. 유수율 제고사업이 좀체 속도를 내지 못하는 탓이다. 도는 상수도 관망의 체계적 유지·관리와 안정적 수돗물 공급을 위해 블록구축(최적관리시스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환경부 자료를 보면 2017년 도내 블록 구축률은 대블록 0%, 중블록 4.5%, 소블록 3.2%에 불과하다. 전국 최하위인 것은 물론 65% 이상인 전국평균에 비하면 너무 부끄러운 수준이다.  

뿐만 아니다. 유수율 제고 사업비 확보가 어렵다면서 있는 예산도 제대로 쓰지 않았다. 증가하는 관광객과 인구수에 대비해 2025년 유수율 70% 달성을 위해서는 최소 2750억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상유지 비용까지 포함하면 당장 내년부터 매년 600억원 이상을 투입해야 한다. 국비 지원이 필수지만 중앙부처와의 절충이 쉽지 않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정작 도는 지난해 예산 157억원 중 85억원을 집행하지 않고 이월했다는 것이다.   

원희룡 지사는 유수율 제고를 위해 지방채 발행 검토까지 언급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아무런 후속조치도 없는 것을 보면 제주도가 상수도 관리에 위기의식을 못느낀다고 볼 수밖에 없다. 지금같은 상태에서 인구 100만명 시대를 맞는다면 도 전역에 제한급수가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크다. 이로 인한 도민과 관광객들의 불만과 갈등이 커질 것은 당연하다. 안일하게 대처할 일이 아니다. 유수율 제고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